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987년 미국 이스트먼코닥사의 중국인 과학자 칭 W. 탕이 개발했다. 저분자 유기
물
질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자 LED처럼 밝은 초록빛을 내는 것을 발견했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평판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이다. LCD는 액정 소자가 촘촘히 배열된 패널을 이용해 화면을 ... ...
언터처블 : 5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영어로 ‘pentagon(펜타곤)’이라고 한다. 그런데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국방부의 건
물
이 오각형이라서 미국 국방부를 펜타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런 오각형은 지금도 그렇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관심을 갖던 도형이었다.기원전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학파는 정오각형에 큰 관심을 갖고,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들어 냈어! 결국 단 걸 너무너무 좋아하고 신비한 단맛도 만들어 낸 내가 달달공장을
물
려 받았지. 그런데 이럴 수가! 신비한 단맛을 만들어 내는 동안 달콤한 음식들을 너무 많이 먹었나봐. 살이 너무 많이 쪄서 내가 개발한 달콤한 자동차에 탈 수 없는 거 있지? 게다가 이도 다 썩어서 달콤한 ... ...
과학에 빠진 카카오, 초콜릿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의하세요!.와~. 달콤한 과학을 담은 초콜릿이라니…! 정말 특별한 밸런타인 데이 선
물
인걸? 편지에 초콜릿 맛에 담긴 과학 원리와, 좋은 초콜릿 고르는 법까지 소개하면 성우 오빠가 똑똑한 나를 더 좋아하겠지? 헤헤. 그럼 우리 모두 이번 밸런타인데이엔 정성을 담은 특별한 초콜릿을 만들어 볼까 ... ...
왕눈이 대왕오징어 “눈이 커야 살아남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둡고 깊은 바다에서 다가오는 향유고래를 보려면 고래가 움직일 때 주변에 작은 유기
물
이 교란되면서 나는 빛을 보면 된다. 연구 결과 농구공 크기의 눈은 120m 이상 떨어져 있는 고래가 만든 반짝임도 볼 수 있었다. 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면 선사시대 어룡의 큰 눈도 진화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거쳐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
체 사이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합니다. 음의 높낮이는 공기층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아니라 단위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문제에 대해서는 의견이 모이지 않고 있다. 유
물
을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은 유
물
을 인양해서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타이타닉이 가라앉은 곳을 일종의 무덤으로써 놓아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 해저 케이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장과 저주파 소음으로 근처에 살고 있는 동식
물
이 스트레스를 받거나서식지를 떠날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해상풍력 단지가 건설된 곳이 없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것도 문제다. 해상풍력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흉내내기 위해 여러 가지 첨가
물
이 들어간다.임 연구원은 “식품첨가
물
로 허가를 받은
물
질은 법적 허용기준치 안에서 먹을 경우 인체에 해가 되지 않지만 반복해서 다량 섭취하면 해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사건은 모조치즈가 문제라기보다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데 문제가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의 마이클 프롬 박사는 “이 연구를 가뭄에 잘 견디는 작
물
의 교배나 유전자 조작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3월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