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동료들이 위험한 곳에 다가가지 못하게 알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샌디에이고대
생물
학과 제임스 니 교수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꿀벌이 날갯짓으로 긍정적인 신호만 전한다고 알고 있었다”며 “날갯짓으로 부정적인 신호를 내보낸다는 사실을 처음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벌집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바탕으로 최적의 설계를 한 유전자 키트(특정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의 모임)를 미
생물
에 도입해보면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생명체는 역동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는 길은 아직 멀다”고 말했다. 이미 염기서열이 알려진 게놈도 아직 그 작동방식을 제대로 ... ...
2020년 글로벌프론티어연구, 인간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출현한다. 생명과학의 현상을 이용해 다목적 인공지능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
생물
학 프로젝트도 후보에 올랐다.신약을 만들고 바이오 에너지를 만드는 생명체의 출현이 예상된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개인 유전체를 분석해 맞춤형 치료와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도 나타날 전망이다. ‘맞춤의료 NBIT ... ...
군인의 뇌에는 ‘사랑 호르몬’ 흐른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여성이 아기를 낳거나 아기에게 젖을 먹일 때, 모성본능을 느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군인의 충성심과 결속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 사회진화적 산물이라고 추정돼 왔다”며 “이번 연구로 뇌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이 작용하는
생물
학적 결과임이 판명됐다”고 설명했다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생물
을 우리는 유전자 조작
생물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이라 부른다. 유전자 조작
생물
은 수확량이 많고 병충해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도전! 글쓰기 곡물을 이용해 만든 바이오에탄올이 곡물가 상승의 주된 . ...
한국 과학자,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 가능성 열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메리언 세이더 박사가 최초로 알아냈다. 명 박사가 속한 연구팀은 해초 같은 해양
생물
에서 아미노말단 도메인에 결합해 수용체의 활성을 떨어뜨리는 ‘EPI-001’이라는 물질을 찾아냈다. 이 물질을 투여한 암 세포는 시간이 갈수록 크기가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EPI-001은 안드로겐 수용체와 ... ...
‘솔직한 인간’이 밝히는 인간의 실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진화를 계속 겪으면서 인간의 몸에는 수많은 땀샘이 생겨났다. 지구상에 있는 어떤
생물
보다도 많은 수의 땀샘을 갖게 된 것이다. 땀은 공기 중으로 빠르게 날아갈수록 효율적으로 동물의 몸을 식힐 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땀의 증발을 방해하고 몸에 열기를 보존하는 털가죽을 점점 벗어던지게 ... ...
비타민C로 만든 전기 맛 한번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다시 수술대에 오를 필요도 없다. 개미산과 비타민C처럼 먹는 재료에서 전기 뽑아내
생물
을 이용하는 연료전지는 종종 개발되고 있지만 인체에 삽입하는 생체용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국내에서는 경상대 나노구조 생체에너지 융합 연구단의 남태현교수가 전기를 만들어내는 ... ...
주어진 여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비로소 길이 보였요.”“그렇다면 엄마가 의사가 되라고 했지만 꿈을 찾아 헤매다가
생물
이 뭔지를 알게 됐고, 그때부터 꿈을 향해 다시금 도전하게 됐다는 거지? 뒤늦게 하고 싶은 것을 찾았으니, 그때부터는 뭔가 노력하고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는 게 중요해. 그러려면 3학년 1학기 때에는 내신 ... ...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많은 연구자가 참여하고 있는 연구 분야가
생물
학, 특히 분자
생물
학 분야일 것이다. 분자
생물
학의 주 연구 대상은 유전 정보를 갖고 있는 핵산이라는 물질이다. 지금부터 약 60년 전 제임스 왓슨과 프란시스 크릭은 ‘네이처’에 DNA 이중나선 구조에 관한 짧은 논문을 하나 발표함으로써 현대 과학의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