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쉽지 않아 쓰레기 문제로 골치를 앓는 경우가 많다. 무선인식태그가 붙어있는
미래
의 쓰레기 봉투는 음식물 속에 섞여있는 이물질의 분리 수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음식물과 일상용품에 심어진 인식칩들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수거돼야 하는지 쓰레기 봉투에 알려주게 된다.유비쿼터스가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국제 공동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부지 선정을 놓고 일본과 프랑스를 앞세운 유럽연합(EU)이 캐스팅 보터로 떠오른 한국 모시기에 나섰다.오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될 ITER프로젝트는 핵융합로 건설에만 50억달러, 향후 20년간 최소 6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등 명차 브랜드들은 대부분 슈퍼카 제작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실험성이 강해
미래
자동차를 연구하는데 적격이기 때문이다.슈퍼카는 원래 1960년대 람보르기니·부가티·페라리 등 이탈리아의 스포츠카 제작자들이 만든 최고 성능의 스포츠카를 일컫는 말이었다. 하늘에서와 마찬가지로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던 마크 와이저가 제기한 기본 명제들 속에서
미래
사무실의 모습이 발견되기 때문이다.구시대 유물된 컴퓨터 현재의 데스크탑 컴퓨터는 사무실의 가장 중요한 책상 위의 거의 모든 면적을 차지하고 덩그러니 앉아있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사무실에서는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앞서 언급한 기술들은 머지 않은 장래에 실제로 나타날 것들이다. “불확실한
미래
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발명하는 것”이라는 전산 과학자 앨런 케이의 말은 매우 적절해 보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혁명 유비쿼터스가 온다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면서
미래
의 거리는 일상과 공공이 만나는 무대로 변모할 것이다.
미래
로 가는 디지털 주작대로 DMS는 인간중심의 도시환경과 첨단 기술, 그리고 참신한 아이디어가 결합한 공간으로 우리 앞에 나설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혁명 유비쿼터스가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벤터 박사의 연구를 지원한 것은 이들이 만들고자 하는 인공생명체가 이산화탄소를 먹고
미래
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수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이기 때문이다. 에너지성은 3년간 9백만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그렇다면 최소 게놈은 어느 정도일까. 벤터 박사와 함께 박테리오파지 DNA를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다.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올해 주목할 만한 것들이 있다면.전시장에 마련된
미래
쇼핑몰은 먼훗날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한해 동안 인식칩 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세상에 나왔다면 앞으로 1년은 인식칩의 상용화가 화두가 될 것이다. 생각대로만 된다면 올해안에 상용화가 가능하리라고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로마시대 이전 이탈리아에 거주하던 에트루스카인들은 장례비문을 남겼다. 그리고
미래
를 예측하는데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다. 기원전 12세기 중국 갑골문자는 거북이 등껍질이나 수소 뼈를 부서질 때까지 태운 후, 뼈가 갈라지는 모양에 따라 점을 치고, 그 결과를 뼈 위에 적은 것이다.문자가 ... ...
이공계 살리기 움직임 활발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체복무제도 도입에 반대했으나 여야는 도입하기로 의견을 보았다”며 “국가의
미래
가 걸린 사안인 만큼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한편 과학기술인의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현재 개선의 목소리가 높은 분야는 기술사 관련제도다. 기술사란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