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중인 미륵사지 석탑과 불국사 3층석탑(석가탑)에도 에틸실리케이트에 각 석재와 비슷한
나노
입자를 첨가한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비슷한 석재 쓰는 나라 간 협력 활발 석조물 복원 연구에는 유난히 국제 공조가 활발하다. 인접 국가의 석조물 재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유럽의 ... ...
반도체로 쓸 수 있는 그래핀
나노
리본 세계 최초 개발
2014.10.30
나노
리본의 테두리 모양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았다. 그래핀
나노
리본은 테두리 모양에 따라 안락의자형과 지그재그형으로 구분되는데, 모양에 따라 성질이 달라진다. ... ...
맨홀뚜껑 닮은
나노
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유필진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 수준의 기공이 있는 3차원 구조물 틈새에 15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을 맨홀뚜껑 모양으로 낸 고분자물질을 채워 넣었다.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3차원 구조로 만들면서 두께는 두꺼워졌지만 표면적이 넓어져 처리 속도가 ... ...
휘어지는 투명 태양전지, 간단하게 찍어 만든다
2014.10.28
사실을 규명하고 고분자 층의 표면에너지를 높여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8nm(
나노
미터·1nm=10억분의 1m)의 얇은 두께에도 기존 170nm 두께의 전극보다 전기를 잘 통하는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전극으로 만든 유기 태양전지는 기존보다 광전류 밀도가 17% 이상 높아, ITO가 아닌 전극을 이용한 ... ...
태양빛으로 물 깨끗하게~
2014.10.26
나노
튜브가 일정하고 빽빽하게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정렬되 있다(b).
나노
튜브를 확대하니(c) 거친 표면과 빈 공간 많아 표면적이 넓다(d). -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특히 연구진은 새로 만든 촉매로 오염물을 분해하는 실험과 함께 정화한 물이 살아있는 세포에 안전한지도 추가로 확인했다.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석학 루크 리 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는 “초미세 공정을 만드는
나노
기계기술과 생체 특성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회로 기술 등 바이오칩에는 기계기술이 핵심”이라며 “최근 첨단 의공학 장비 개발에는 기계기술과의 융합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 ...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 성공
2014.10.22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인 n형 반도체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
나노
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 제공 반도체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입자가 양전하인지, 음전하인지에 따라 각각 p형과 n형으로 나뉘는데, 유기 반도체 분야에서는 p형 연구가 많이 진행됐다. 하지만 전자소자로 ... ...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플라스틱으로만 제조가 가능했지만 오늘날엔 금속으로도 가능하다. 그래핀이나 탄소
나노
튜브 같은 신소재가 상용화될 수 있을 지에 대한 여부는 가격경쟁력과 필요성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 금속성형 연구의 매력이 있다면. 산업계와 연계해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이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물질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는 다층자가조립법으로 2차원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층을끼워넣은 구조체를 만들었다. 이 전해질층은 층 ... 소재에 국한됐던 연구가 돌파구를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학술지 ‘
나노
레터스’ 온라인판 9월 29일자에 실렸다. ... ...
나노
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나노
융합기술의 현주소는 어떤가. 한국의 의료 서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많은
나노
바이오기술 연구자들이 논문을 통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 이제는 실제로 이런 기술을 산업화해서 상품을 생산하는 면에서 리더십을 보일 때라고 생각한다.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