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 완화하는 아로마 테라피, 실제 약리
작용
까지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6
허브가 부모새에게 약리학적 효과를 줬을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나 실제로 각 약리
작용
이나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
개 사이에도 독감 대유행 덮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조치를 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돼지를 통해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작용
하도록 변형된 지 10년만인 1918년 신종 플루가 처음 대대적으로 퍼진 스페인독감 판데믹이 일어났음을 감안하면, 조만간 개에서도 인플루엔자 판데믹이 일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사스트레 박사는 ... ...
영유아기 비만이 훗날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2018.06.03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pixabay 제공 사실 이전의 연구결과에서 비만일 때 여러 뇌 영역에
작용
하는 호르몬 조절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것은 밝혀진 바가 있는데요. 이는 성인의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린 아이들의 비만율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비만이 어린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02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처럼) 수만개 이상의 RNA 전사체들의 상호
작용
과정를 분석해 발생 과정을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노력이 계속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스스로 돕는 식물의 생존법
2018.06.02
통해서 불필요한 물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증산
작용
’이라고 해요. 식물은 증산
작용
을 통해 스스로 온도 조절을 해요. 식물의 모든 줄기는 껍질에 둘러싸여 있어요. 그 껍질은 줄기를 보호해 주고 추위와 더위도 견딜 수 있게 해 주어요. 줄기는 어떤 일을 할까요? 줄기는 지도에 빗대면 ... ...
문어처럼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 전자피부로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기능성에 신기원을 열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홍용택 교수는 “로봇과 인간의 상호
작용
가능성에 한 획을 그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5월 30일자로 게재됐다. 전자피부로 구현되는 소프트 로봇의 다양한 움직임. 서울대 ... ...
[과학사진관] BEAAMMMMM !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말 위 사진은 간섭계를 사용해서 얻은 거울표면을 촬영한 것이다. 레이저와 물질 간 상호
작용
을 관찰하고자 특별한 거울을 직접 설계했다. 도넛빔을 만들 수 있는 45° 입사각의 이 거울은 표면층이 여섯 단차로 각각의 단차가 점점 높아지는 구조이다. 가장 낮은 곳과 가장 높은 곳의 높이 차이는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효소가 호스15와 결합하면서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를 분해했다. 이어 여러 단백질의 연쇄
작용
을 거쳐 염색질이 실패에서 느슨하게 풀려났고, 유전자의 스위치가 켜질 수 있는 상태가 됐다. 추위에 견디는 유전자들의 집합인 코르(COR) 역시 스위치가 켜지면서 활성화됐고, 식물은 냉해에 견딜 수 있는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광합성을 하는 단백질과 박테리아에서 광전환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추출해 세포 내 대사
작용
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만들었다. 이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인공 세포막 내부에 삽입해 골격근을 이루는 단백질인 ‘액틴’을 스스로 합성하고 움직일 수 있는 인공세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레이저로 분자를 만들어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6
조립해 NaCs라는 하나의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광학 집게는 레이저와 입자 사이에
작용
하는 인력과 척력을 이용해 원자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나트륨과 세슘 원자를 광학 집게로 각각 분리해 고정시킨 뒤,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빛을 쐈다. 화학반응은 빛의 파동에 의해 결정됐다.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