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리"(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과학동아 l198705
- 비롯하여 황색꽃을 피우는 초롱꽃 동자꽃 개물통이 큰개별꽃 딱지꽃 큰제비란 오리방풀 벌깨덩굴 곰취 솔체꽃 등 대암산의 큰용늪지역은 천연으로 가꿔진 꽃밭이다. 특기할 식물로서는 비로용담 금강초롱 가는동자꽃 조름나물 날개하늘나리 좀통발 큰비단분취 및 바늘사초를 들 수 있다. 습원을 ... ...
- 임목 육종 연구소과학동아 l198705
- 도입하여 시험검정하였고 그 결과 이태리 포플러 ‘1-214’ ‘1-476’ 테다소나무 좀잎산오리나무 등 4종은 장려품종으로 보급하였으며 벨기에 포플러 ‘V-211’스트로브잣나무 등은 장려품종으로 유망시되고 있다. 또 향토수종 개발을 보급하기 위한 채종원조성용우량나무 1천7백10그루를 선발했으며 ...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과학동아 l198704
- 만약 꿈을 꾸지 않았으면 인간의 머리는 지금보다 훨씬 커졌을지도 모른다. 아니 오리너구리에 비해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되는 인간은 커다란 신피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멸망했을 가능성도 있다. 자고나면 상쾌하고 능력이 향상된다.그러면 인간은 잠잘수록 머리가 좋아지는가? 그렇지는 ... ...
- 북한산의 4계과학동아 l198703
- 있는 참나무류가 가장 많으나 중복이하는 산지복구용으로 심었던 아카시아나무와 물오리나무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밑에서는 상수리, 졸참, 갈참 등과 더불어 때로 굴참나무가 보이지만 능선을 향하여 올라갈수록 신갈나무가 많아지고 고지대까지 올라가는 미역줄나무가 엉키어 있는 ...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과학동아 l198702
- 혹한을 피하여 이곳으로 남하, 월동하게 되고 봄이면 다시 번식지로 되돌아가게 된다. 오리과 외에도 아비과(아비회색머리아비 큰회색머리아비), 농병아리과(귀뿔농병아리 검은목농병아리 뿔농병아리), 가마우지과(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도요과(민물도요 꺅도요), 매과(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
- 최신예 전투기 EAP와 RAFALE 콘테스트과학동아 l198702
- 있다. 라팔기는 2개의 엔진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날개의 위치를 보면 라팔기의 이른바 '오리 날개'라고 하는 보조익은 비행각도에 상관없이 흡입구의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충분히 동체 후미 쪽으로 달려있다. 반면 EAP의 보조익은 라팔보다 훨씬 앞으로 달려있는데, 이러한 설계는 ... ...
- 체르노빌 방사능 물질과학동아 l198701
- 동부아시아 그리고 일부는 미국남부지역까지 먼거리를 날아간다.다행히 미국인들은 검둥오리를 잡아먹지 않지만 아프간 등 일부 지역사람들은 좋은 요리감으로 삼고 있다.그러나 이 새의 분비물이 하천이나 곡물을 오염시키게 돼 결국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체르노빌원전의 피해는 모든 사람에게 ... ...
- 수달의 생생한 모습 포착과학동아 l198611
- 하는 수달은 신체구조가 이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 이채롭다.즉, 네발의 발가락 사이에 오리처럼 물갈퀴가 달려있고, 귀가 작아 물속으로 들어가면 귓바퀴로 귓구멍을 막아 물이 들어오지 않게끔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폐활량이 커 물속에서도 오랫동안 돌아다닐 수 있다.또한 수달은 매우 영리한 ...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과학동아 l198610
- 63둥우리, 꼬마물떼새 51둥우리, 깝작도요 48둥우리, 개개비 47둥우리, 흰뺨검둥오리 24둥우리, 알락할미새 4둥우리의 순위였고 총 6종 2백37둥우리로 높은 번식밀도를 나타냈다. 최근 서울의 한복판 한강에 적은 수나마 희귀 천연기념물 조류가 나타난다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일이다. 1980년부터 198 ...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과학동아 l198610
- 한편 1929년 일본의 귀족 조류학자, '야마시나 요시마로'박사가 파견한 채집가, '오리이 효지로'씨를 통해 채집한 백두산 조류가 있다. 그가 채집한 2백79종(및 아종) 1천9백40점 가운데는 백두산지역의 희귀한 조류표본들도 적지 않다. 예를 들면 함북만포산 점백이멧새(함북멧새)를 위시한 ... ...
이전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