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때는 한글이 우선이기 때문에 글자의 인상과 시각적 크기, 획의 굵기, 기준선 높이 등의 기준이 한글이 된다. 반면 다국어 글꼴은 여러 문자를 동등하게 고려해 디자인한다. 영국에서 활동하며 한글과 로마자, 그리스자 등 다국어 글꼴을 디자인하는 ‘윌로우 프로젝트’를 진행한 류양희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전해 상용화할 예정이다. 한 부장은 “한국형 발사체를 반복발사하며 성능을 더 높이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차세대 발사체는 정지궤도까지 보낼 수 있는 추력을 확보하고, 재사용을 위한 추력조절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우주 수단을 가진 나라가 되기까지(고정환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심화 개념도 배운다. 이후엔 인공위성에서 보내온 해수면 데이터로 학생들이 해수면의 높이에 따른 태풍피해 정도나 기후변화가 부른 해수면 상승 등 주제를 설정해 주도적으로 탐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미국 럿거스대에서 운영하는 ‘해양 데이터 랩(Ocean Data Labs)’이나 ... ...
- [과학 뉴스] 인저뉴이티, 다른 행성의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에너지를 충전한 인저뉴이티는 첫 번째 비행에서 약 40초 동안 제자리에서 3m 높이까지 상승했다가 내려앉았어요. 이어지는 시험 비행에서는 더 높은 고도에 올라 좌우로 이동했다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등 다양하게 움직이는 데도 성공했지요.헬리콥터가 날기 위해서는 프로펠러의 날개가 빠르게 ...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불의 제왕 섭섭박사! 열을 다스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하면 빨대 속 액체가 어떻게 되는지 관찰한다. 왜 이런 일이? 결과 : 빨대 속 액체의 높이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유리병을 뜨거운 물에 담그면 유리병 속 공기가 따뜻해져요. 기체는 온도가 올라가면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부피가 커져요. 반대로 차가워지면 부피가 줄어들지요. 손으로 ... ...
- [인터뷰] 떴다 떴다 종이비행기~♬ 멀리, 오래 날리는 비법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런데 종이비행기 날리기에도 국가대표가 있대요. 국가대표로 활약했던 선수들에게 높이, 멀리 나는 종이비행기의 비결을 물어봤어요. 어수동 종이비행기도 국가대표가 있어요? 이정욱 종이비행기 국제대회가 있거든요. 저희는 2015년에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종이비행기 국제대회에 우리나라를 ... ...
- [수학동아가 간다!] 서울 가재울중 와이즈 수학탐구반, 수학 교양서 완성기!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림과 함께 지면에 배치하는 디자인 작업이 진행된다. 김동호 군은 “‘피라미드 높이’를 주제로 글을 쓰면서 내용을 설명할 그림을 넣어야 하는 데, 저작권이 없는 그림을 찾지 못해 결국 직접 그려야 했다”며 “글이든 그림이든 창작물이 얼마나 힘들게 만들어지는지 알게 돼 저작권의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세로 지형을 한 줄씩 그리도록 설정합니다. 세로 지형은 화면 아래부터 위쪽으로 타일의 높이 간격으로 정해진 개수만큼 이동하면서 타일을 그립니다. 화면에 타일을 그리는 방식은 펜 툴의 스탬프 기능을 이용합니다. 또 스크래치 코드 ②, ③에서는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해 지형 타일을 ... ...
- [SF 소설] 목가와 숙녀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풀밭에 팽개쳐두고는 다이빙을 하러 올라갔다. 이 호수에는 다이빙하기에 딱 좋은 높이의 절벽이 있었다. 4, 5미터 정도였고, 물도 깊었다. 어른들은 위험하다고 제발 하지 말라고 했지만 우리는 적당한 스릴을 즐겼다. 무섭다고 엄두도 못 내고 구경만 하는 애들 앞에서 몇몇 용감한 남자애들과 ... ...
-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확인한 일이 있습니다. 2020년 5월 국립해양조사원은 1993~2017년 인공위성이 관측한 해수면 높이, 해류, 현장관측 자료를 통해 울릉분지 내 62개 난수성 소용돌이의 발달과정을 수학 모형으로 분석했어요.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울릉난수성 소용돌이는 고온고염의 동한난류가 독도 연안을 따라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