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뚜껑"(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안에서는 상승기류가 생긴다. 이는 마치 주전자의 물을 끓이는 것과 같다. 끓는 주전자 뚜껑을 열면 흰 김이 올라간다. 김은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한 것이다. 수증기는 많은 양의 숨은 열(잠열, 潛熱)을 지니고 있다. 25℃ 수증기 1g이 같은 온도의 물이 될 때에는 5백83㎈의 숨은 열을 내놓는다. 끓는 물 ...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과학동아 l2001년 10호
- 표면 영상을 얻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터널링 현상은 이런 것이다. 만약 바닥에 놓인 뚜껑없는 상자에 탁구공을 넣어뒀다고 가정하자. 이 탁구공이 상자 바닥에서 슬슬 굴러다니다가 스스로 밖으로 나올 수 있을까? 상자의 옆면에 구멍이 나지 않는 한 결코 이러한 일은 벌어질 리 없다. 탁구공이 ...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과학동아 l2001년 05호
- 기름을 뽑는 장면에서 영화 다이하드가 떠올랐어요. 다이하드 3 마지막 장면에서 비행기 뚜껑을 열어서 기름을 뽑고 불을 붙이죠. 마치 액체처럼 쉽게 뽑아내는데 그렇게 쉽게 할 수 있는 건가요?조박사_ 휘발유보다 휘발성이 덜한 연료가 사용되긴 하지만 듣고 보니 이상하군요. 기술적인 문제를 ... ...
- 동물도 생각할까!?과학동아 l2001년 05호
- 고이곤 했다. 새들에게 이 얼마나 군침 도는 먹이인가. 처음에 한 박새가 종이 뚜껑을 부리로 찢어내곤 지방덩어리를 먹기 시작하자, 곧 영국의 모든 박새가 이 행동을 따라했다. 결국 영국 우유 회사들은 마개를 더 단단한 재질로 바꿀 수밖에 없었다.일본의 원숭이도 기발한 생각에는 이에 못지 ...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들여다볼 수 있었다. 사고 18개월 후에는 위 내벽이 자라서 구멍을 덮는 층이 형성돼 뚜껑처럼 열어볼 수가 있었다.마르탱은 18개월 동안 행정 당국으로부터 금전적인 지원을 받았다. 그 후에는 버몬트가 생활을 도와주면서, 그들은 좋은 관계를 계속 유지했다. 버몬트는 마르탱에게 소화 메커니즘을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공간의 시각적인 측면을 손쉽게 확인하고 모델링할 수 있게 도와준다.이 밖에도 빈 병의 뚜껑을 열고 닫음으로써 연주되는 음악의 선율, 손의 촉감을 통해 상대방과 대화가 가능한 롤러, 손동작을 기억했다가 그것을 정확하게 반복하고 재현하는 작은 로봇 등이 방문한 사람들의 시선을 끈다. 이러한 ...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과학동아 l2001년 01호
- 그래서 북두칠성은 우리민족의 사랑을 듬뿍 받아왔다. 옛날 청동기시대 고인돌 뚜껑에도, 고구려 사람들의 무덤 속에도 북두칠성은 빠짐없이 그려졌고, 고려시대의 무덤에도 어김없이 북두칠성이 나온다. 또한 시골에 가면 마을마다 칠성당이 있으니 북두칠성을 모신 사당이며, 절에 가면 볼 수 ...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과학동아 l2001년 01호
- 1백60cm이다. 무덤칸의 바닥에는 3개의 받침이 남북 방향으로 놓여있고 그 위에 뚜껑돌이 덮여 있다. 단군릉이 고구려양식인 이유는 고구려시대에 무덤을 개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무덤은 도굴돼 특별한 유물은 없었지만, 부장품으로 금동관 앞면의 세움장식과 돌림대 조각이 각각 1개, ... ...
- 리프킨의 엔트로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향으로만 일어난다’가 된다.예를 들어 방 한구석에 있는 향수병의 뚜껑을 열어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수 분자들이 갇혀 있던 병을 빠져 나와 무작위 운동을 하면서 방 전체로 퍼져 나가게 된다. 이 현상은 향수 분자가 질서있게 병에 갇혀있다가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두개의 묘실을 우선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쿠프의 현실에 아직도 뚜껑이 없이 비어 있는 석관이 남아 있다.대피라미드가 다른 피라미드보다 가장 특이한 점은 높이 20cm, 폭 22cm의 천체창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천문학자 트림블은 남쪽의 환기구멍이 기원전 2600년에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