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이 세상 개미는 모두 20000000000000000(2경)마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홍콩대학교 생물학과의 패트릭 슐트하이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전 세계에는 약 2경 마리의 개미가 산다고 발표했습니다. 물론 직접 센 건 아니고, 지금까지 나온 개미 관련 연구 중 개미의 숫자를 정밀하게 계산한 489개 연구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이 개미들의 총 중량●은 1200만t(톤)으로, 야생 ... ...
- [기획] 새끼 오리가 들려준다! 이그노벨상 2022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안녕, 친구들. 나는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강에 사는 새끼 오리야. 우리에 대한 연구가 2022년 이그노벨상을 수상하게 돼 시상식에 초청받았지. 이그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학교 과학잡지 ‘있을 것 같지 않은 연구회보’가 노벨상을 패러디해 1991년 만들었어. 매년 ‘웃기고 나서 생각하게 만드 ... ...
- [기획] 2022 이그노벨상 시상식 온라인에서 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대변이 쌓이면 체중이 늘어나 느려질 거라고 예상했어요. 도마뱀 등 자절을 하는 다른 생물에서도 자절 이후 신체 능력에 변화가 생기는 일이 잦거든요. 그런데 예상은 빗나갔어요. 자절 직후 약 2주 동안 자절한 전갈과 자절하지 않은 전갈 사이의 이동 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어요. 50일간 이어진 ... ...
- [현장취재] 지사탐 대원들, 사진 작가 데뷔?! 자연사박물관 사진전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지요.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직접 사진전에 전시된 자신의 생물 사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도 특별했어요. 꽃무지풀무지팀 김서우 대원은 전시된 자신의 작품에 대해 “호랑나비 수컷 두 마리가 암컷 한 마리를 따라다니며 하늘을 날아다니는 모습을 발견하고 ... ...
- [특집] 282종,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멸종위기 야생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Intro. [특집] 282종,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멸종위기 야생생물Part1. [특집]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5년 만의 개정!Part2. [특집] 63년 만에 돌아온 새, 뿔제비갈매기Part3. [특집] 신비의 섬 제주도 식물들이 위험하다 ... ...
- [특집] 63년 만에 돌아온 새,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뿔제비갈매기의 존재를 알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다면, 연구자도 생길 거고 정부도 생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더 노력할 거예요. 언제나 관심을 가져주세요 ... ...
- [특집]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5년 만의 개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반가워, 난 어름치라고 해! 물이 맑고 자갈이 많은 강바닥에서 사는 민물고기지. 알을 낳으면 강바닥에 모래와 자갈로 산란탑을 쌓아 보호하는 습성으로 유 ... 말까지 목록 개정이 완료되고 내년 초에 발표될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생물들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습니다 ... ...
- [인터뷰] 멸종위기 생물, 너의 이름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 제인구달 박사님을 영국에서 만난 사연은?진관우 작가는 생물학도입니다. 어렸을 적 잠시 화가를 꿈꿨지만, 그림을 특별히 배운 적도 없어요. 초등학생 때는 동물을 좋아해서 장래희망이 수의사, 생태학자를 거쳐 동물행동학자로 이어졌다고 밝혔지요. “제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지난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기록한 작은 친구들이지요. 평소에는 못 보고 지나쳤던 생물들을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쓰나미가 우리 학교를 덮친다면? 조회 수 : 10만 회채널명 : BRIGHT SIDE VR 360 VIDEOS (구독자 수 : 13만 명)평온한 교실의 쉬는 시간. 창밖 너머 펼쳐진 고요한 바다가 갑자기 ... ...
- [특집] 신비의 섬 제주도 식물들이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한반도 남부와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노란색 무궁화인 황근(사진)은 원래 멸종위기 2급 생물이었습니다. 이후 많은 개체가 증식되었고 번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올해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되기로 했어요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