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d라이브러리
"
전망
"(으)로 총 2,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황용석 교수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의 방향이 원전 축소로 맞춰지면서 원자핵공학의
전망
을 우려하는 시선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우리나라와 같이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해야 하는 나라에서 에너지 공급원이 다양하지 않으면 급격한 가격 상승이나 공급 문제가 생길 경우 돌이킬 수 없는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2021년 한국형발사체 발사시험발사가 성공하면 한국형발사체 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
이다. 한국형발사체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600~800km)에 올릴 수 있는 우주발사체다. 3단으로 구성된 한국형발사체의 길이는 약 47.2m로 아파트 15층 높이에 해당한다. 최대 지름은 3.5m에 이른다. 무게는 약 ... ...
[과학뉴스] 302g 초미숙아, 169일 만에 퇴원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사례 중 가장 작은 아기로 기록됐으며, 전 세계에서도 26번째로 가장 작은 아기로 기록될
전망
이다.이 양은 산모의 임신중독증으로 인해 임신 24주 5일 만에 태어났다. 일반적으로 1kg 미만의 미숙아는 모든 신체 장기가 미성숙한 상태기 때문에 각종 미숙아 합병증을 앓게 된다.이 양 역시 폐포가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국제 시장조사업체인 IHS마킷은 2030년이면 약 220만 대 규모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
했다. 현대자동차가 한발 앞서서 세계 최초 양산에 성공했지만 자동차 산업의 전쟁터인 미국에서의 주도권은 일본 기업들이 쥐고 있다.현재 BMW는 토요타와 함께 2020년을 목표로 수소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하고 ... ...
[심장과 생식기 연결하기] 당신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개발 중이다. 이들 오가노이드는 우선 약물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는 플랫폼으로 쓰일
전망
이다. 생식기 이식 통째로 성공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진은 지난 4월 남성의 성기를 통째로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2016년 미국 매사추세츠종합병원에서도 음경암으로 음경을 잃은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
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도로 빠르게 위로 솟구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어느새 도착한 123층에서 본 서울의 풍경은 지금까지 봤던 서울과는 사뭇 달랐다. 마치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반응입니다. 하지만 공격수는 불만을 표하지 않고 있어서 다득점 월드컵이 될 거라는
전망
이 우세했었습니다. 실제로 월드컵을 시작하고 보니 상대적으로 많은 중거리 슛 득점과 골키퍼의 미숙한 볼 처리가 나오며 예상했던 다득점 경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FIFA 입장에선 공인구 제작의 의도대로 ... ...
[과학뉴스] 남극 대륙 빙붕, 60년 만에 18% 얇아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그간 주로 배를 이용한 관측에 의존했던 남극 대륙 빙하 분석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
이다. 앤드루 셰퍼드 영국 리즈대 지구관측과 교수팀은 ‘크라이오샛(CryoSat) -2’ ‘알티카(AltiKa)’ ‘아이스샛(ICESat)-2’ 등 인공위성 3기에 탑재된 레이더를 이용해 남극 대륙의 빙하와 빙붕, 해빙의 두께를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분석화학표준센터 책임연구원은 몰의 재정의가 미칠 영향에 대해 이렇게
전망
했다. 그는 몰의 측정소급성(metrological traceability· 비교의 연결고리를 통해 명확한 기준에 연관시킬 수 있는 측정결과의 특성)을 본격적으로 이어주기 위한 연구에 열정을 내비쳤다.이를 위해서는 몰질량(molar mass, 단위 kg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꼭대기를 위성과 연결해 건물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고 우주
전망
대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쳤다. 초고층건물을 향한 아이디어는 끝이 없다. 아직 재료나 기술이 따라오지 못할 뿐이다. 꿈꾸고 상상하다 보면 언젠가 이뤄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정 센터장은 “40년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