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2차 미세먼지!기자단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로 향했어요. 연구실을 둘러보기에 앞서 하헌필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본부장님이 친구들에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몸에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략은 단순하다. 하나의 카메라만 이용해서 기문을 인식한다. 전 이사는 “스키로봇 제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50대 50으로 중요하다”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너무 복잡하면 오히려 문제가 생길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카메라 하나로 인식하는 만큼 기문까지의 거리는 ... ...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든것이다. 쌍둥이 눈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이 자라나는 환경을 엄격하게 제어해야 한다. 리브레히트 교수는 “북미 사람들은 학교에서 ‘두 개의 눈송이는 다르다’고 배운다”며,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벗어나는 쌍둥이 눈송이를 만들면 재미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쌍둥이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한쪽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일한 대비책이다. 에어커튼은 화재 시 연기 확산을 제어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원리는 고깃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환풍기와 유사하다. 다만 일반적인 환풍기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해 대류현상을 유도하는 반면, 이번에 실험한 에어커튼은 화재가 난 ... ...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압력차가 생겨 화재층 연기가 다른 층으로 잘 퍼져나가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런 연기 제어 기술을 서울 강남구의 파르나스 타워 증축 공사에 적용했다. 유용호 연구위원은 “초고층 건물에는 가장 첨단의 방재 기술이 적용된다”며 “건축법을 잘 준수해 더 이상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길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요. 한양대학교 임창환 교수는 “다른 생각을 할 때도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로봇팔을 움직이면서 모든 촉각과 관절의 움직임, 중력의 정도까지 느낄 수 있도록 연구 중”이라고 말했어요. 색을 소리로 본다?! 아이보그사람은 다른 ... ...
- [과학뉴스]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차이를 0에 가깝게 만들자, 인공적으로 디락 입자가 발생했다. 전류 흐름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데다가 전하 이동도 빨라진 셈이다. 김 교수는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7년 11월 2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람 손목과 달리 45~70도로 움직이는 데 그쳤다. 움직일 때마다 손목 부위가 덜렁거려 제어도 어렵다. 연구팀은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이 서로 번갈아 당겨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모방해 두 개의 유압 실린더를 단 액추에이터를 개발했다. 이 액추에이터를 로봇 팔에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팀이 가상으로 만든 비행생명체(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스스로 날아다닐 수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구현하더라도 기존에는 시야를 감독이 제어했다. 남자친구를 바라보다가 잠시 한 눈을 팔면(카메라를 돌리면) 그가 “자기야 어딜 봐, 나를 봐야지”라고 말하는 훈훈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그러나 VR은 시선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 한 눈을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