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가스를 수술 부위에 주입해 공간을 확보한 뒤 포트(port)라고 불리는 구멍을 몇 개 뚫어 한쪽으로는 내시경을, 다른 쪽으로는 수술 기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즉, 수술 기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로봇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척추뼈는 매우 단단하며, 내부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길어 보이려고 다리 부분만 세로로 길게 늘이기도 하지만요! 사진을 가로세로, 즉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크기를 조절해야 원래 모양과 닮음인 사진을 만들 수 있다고 했죠? 그런데 가로세로를 동시에 늘이거나 줄인다고 전부 닮은 건 아닙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가로세로를 같은 비율만큼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가느다란 실이에요. 아무리 구부러져도 광섬유 내부에서 빛이 계속 반사를 일으키며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도달하지요. 광섬유는 광통신이나, 온도, 압력, 진동 등을 측정하는 센서로 사용돼요. 광섬유를 이용하면 멋진 램프도 만들 수 있답니다. 광섬유 램프를 보면서 빛의 비밀을 발견해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 뜨지도 않은 오전 6시 반, 서울광장에 도착하니 몇몇 사람들이 몸을 풀고 있다. 광장 한쪽에서는 물리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재능기부로 대회 참가자들에게 테이핑을 해주고 있었다. 테이핑이란 테이프를 이용해 부상 부위를 보강하거나 부상을 예방하는 물리치료 요법이다. 사회인 야구를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곤충 가운데 귀뚜라미를 이용해 추가 실험을 진행했다. Y자 형태의 미로를 만든 뒤 한쪽에는 물그릇을 놔둬 습한 환경을, 반대쪽에는 건조한 환경을 조성했다. 이후 미로 내에서 귀뚜라미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연가시에 감염된 귀뚜라미와 그렇지 않은 귀뚜라미의 행동이 서로 ...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1명입니다. 1개만 먹어보고 3시간 뒤 움파룸파가 설사병에 걸리지 않으면 나머지 한쪽에 약이 들어있을 거고, 설사병에 걸리면 먹은 쪽에 약이 들어있다는 뜻이니까요. 그럼 케이크가 4개일 땐 어떨까요? 이제 움파룸파 1명으로는 약이 든 케이크를 찾기 어렵습니다. 1명만 더 데려와서 2명으로 찾을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주정거장이다. 하지만 발사 중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미세 운석 보호막과 태양전지판 한쪽이 완전히 뜯겨 나갔고, 나머지 태양전지판도 펼칠 수 없게 됐다. 방열판도 손상돼 이대로 태양열을 계속 받게 되면 우주정거장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내부의 식량이나 물품이 모두 상하고 독성 물질이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잡종약세는 그 반대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원재 경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잡종강세는 한쪽 부모의 우성형질이 다른 부모의 열성형질 대신 발현되거나, 우성 유전자와 열성 유전자의 이형접합이 순종보다 더 우수한 표현형을 나타낼 때 주로 발현된다”며 “라이거의 경우 덩치가 커지는 ... ...
- [Culture] 성형수술에 관한 궁금증 6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재건 수술 기법’을 개발해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하고 있다. 가령 교통사고를 당해 한쪽 다리뼈가 이어붙일 수 없을 만큼 심하게 망가진 환자의 경우 CT 촬영을 한 뒤 온전한 다리뼈의 정보를 이용해 3D 프린터로 뼈를 대신할 인공뼈를 출력해 원래 모습을 회복시키는 식이다. 전 교수는 “3D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세포가 죽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새로 태어난 세포들은 마치 손을 뻗는 것처럼 세포 한쪽을 길게 늘여 소장의 바깥쪽과 연결을 유지합니다. 손가락처럼 삐죽 융모가 솟아나는 과정 세포들은 손을 어디로 뻗어야 하는지 어떻게 알까요. 바로 옆에 있는 세포쪽으로 뻗을 수도 있고, 소장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