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8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표면보다 뜨거운 코로나 온도는 100만도...천문연·NASA, 세계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8
풍선기구에 실려 성층권에서 관측 중인 코로나그래프. 천문연 제공.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영역인 코로나는 밝기는 어두운 반면 온도는 표면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는 태양풍으로 불리는 플라스마를 빠른 속도로 태양계 전체에 방출해 지구에도 영향을 준다. 코로나의 높은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비행 중에 장애물과 부딪히는 모습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한 결과, 장애물이 날개
바깥
쪽에 부딪히는 경우 자세를 재조정해서 다시 비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어 장수풍뎅이 뒷날개가 접히는 모습을 구현한 인공날개를 만들어 초소형 비행체에 적용했을 때도 뒷날개가 충돌상황에 ... ...
로봇을 보는 순간 실험쥐들 머리의 LED가 동시다발로 반짝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쥐가 무리 지어 있으면 1마리만 있을 때보다 경계신호의 발생 빈도가 감소했다. 또 무리
바깥
쪽의 쥐들에게는 강한 경계신호가 나타나는 반면 무리의 안쪽 쥐는 거미 로봇이 없을 때 경계신호 세기가 비슷했다. 연구팀은 쥐들이 집단을 포식자로부터 효율적 방어하기 위해 무리와 같이 있으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향하는 구조를 시도했다.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순식간에 해결되지는 않았다. 염기가
바깥
을 향할 때에는 자유도가 많았지만 안쪽을 향하면 네 개의 염기들이 어떻게 얽히고설켜 두 개의 뒤틀린 뼈대를 붙들어두는가 하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뼈대가 중심에 있는 모형에서는 각 ... ...
5일만에 설치 해체 가능한 KAIST 이동형 음압병동 가보니
2021.01.07
올라가 있는 형태다. 음압기가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해 음압을 유지하고 양압기는
바깥
공기를 텐트 내 천장에서 아래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쌓아올려진 음압장치는 병동 기둥의 역할도 함께 한다. 기도삽관을 시연하는 모습.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전실과 병실을 가르는 ... ...
뒷마당에 나타난 상어
팝뉴스
l
2021.01.03
상어가 보였다면서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을 보면 사실인 것 같다. 뒷마당 펜스 바로
바깥
에 상어가 헤엄치고 있는 게 보인다. 사진은 호주 골드 코스트에서 촬영되었다. 홍수가 나서 물이 밀려왔는데 상어 한 마리도 민가쪽으로 헤엄쳐들어왔던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평행한 ‘종파’ 형태였는데, 태양권계면
바깥
으로 멀어지면서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바뀌었다”며 “이 차이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을 구분하는 특징이라 추측하고 있지만 보이저 탐사선이 태양권계면에서 수십 ... ...
'과학 한국' 이들이 있어 지금이 있다…한국을 빛낸 ‘1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말했다. 김 전 장관은 “과학기술은 국가 사회 발전의 기반”이라며 “실험실
바깥
에서 머문 내게 평생 신명나게 일할 기회가 주어진 데 대해 항상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고(故)김용관 | 일제강점기 과학운동…‘과학데이’도 제정 고(故) 김용관 과학지식보급회 전무이사. 김용관 ... ...
따뜻해진 북극 바다, 바다 속 소용돌이 강해진다
2020.12.17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소용돌이가 치면 소용돌이 안쪽의 바닷물과
바깥
쪽 바닷물이 밀도와 염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면서 환경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마셜 교수는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미래 북극의 환경은 갈수록 불안정해질 것”이라며 “생태계에서부터 ... ...
세포를 조립해 성인 남성 미니 방광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개발된 미니장기는 그 구조를 정확하게 모사하지 못했다. 상피세포와 주변 기질층,
바깥
의 근육세포 등이 제외된 재현에 그쳤다. 연구팀은 정확한 구조 모사를 위해 장기 내 세포 하나하나를 모사하는 방법을 착안했다. 신 교수는 “우리 장 기내 다종의 세포가 있다”며 “다종의 세포들을 따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