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유발 단백질 분해하는 신개념 대장암 치료제 개발
2016.06.22
대장암으로 진행 중인 용종의 모습. -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대표 발암인자를 동시에 분해해 암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했다. 최강열 연세대 생명공 ...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 14일자에 실렸다. ... ...
공부와 운동,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은?
2016.06.22
운동하는 것, 잊지 마세요! 한편 이 연구는 세계 3대 학술지 셀(Cell)의 자매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
’ 최신호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I see U” 눈으로 소통하는 ○○○○
2016.06.18
더 연구해 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과학원의 생물학회지 ‘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뒤뚱뒤뚱 두꺼비, 사실은 평형감각의 달인?
2016.06.14
잡는데 내이의 전정기관에 의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 연구결과는 ‘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되었습니다. 전정기관*(前庭器官): 내이의 달팽이관과 반고리관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 머리의 수평, 수직 선형 가속도, 회전 운동을 감지하고 뇌의 중추평형기관에 전달하여 ... ...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06.13
GIB 제공 신생아가 부모의 표정과 목소리를 따라한다는 속설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호주 퀸즐랜드대 초기인지발달센터 버지니아 슬로터 교수팀 ... 행동을 모방할 능력을 타고나진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5월 5일자에 발표됐다 ... ...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
과학동아
l
2016.06.12
Open Science center 제공 Open Science center 제공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오픈사이언스센터가 과학자들을 상대로 심리 실험을 진행했다. 학술지 ‘심리 과학’ ... “9개 다른 저널들도 유사한 제도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연구결과는 ‘플로스
바이올로지
(PLOS biology)’ 5월 12일자에 실렸다 ... ...
나이 든 사람이 보수적인 이유는?
2016.06.05
pixabay 제공 나이 든 사람들이 젊은 사람보다 위험을 회피하고 보수적인 선택을 하는 이유가 ‘호르몬’ 때문인 걸로 밝혀졌다. 롭 러틀리지(Rob Rutledge) 영국 유니버시티 ... 되는 것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3일자에 실렸다 ... ...
도시에 사는 ○○, 수명이 짧아지는 이유는?
2016.05.29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과학원의 생물학회지 ‘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기생충에 감염되어야 살아 남을 수 있는 동물이 있다?
2016.05.28
상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과학원의 생물학회지 ‘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다운증후군 만드는 단백질, 다른 지적 장애와도 관련 있다
2016.05.23
민경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왼쪽)팀은 ‘DSCR1’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뉴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제자리를 찾아가는 데 ... 지적장애를 이해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바이올로지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 23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