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64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CES2022]GM "2025년까지 신형 전기차·자율주행차 30종 선보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1.06
메리 바라 GM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소비자가전전시회)의 기조연설자로 나섰다. 유튜브 캡쳐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선언했다. 메리 바라 GM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5일(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2022.01.06
강의 중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피직스월드 제공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1901년생으로 19세기에 태어난 아인슈타인(1879년생)이나 보어(1885년생), 에르빈 슈뢰딩거(1887년생)과 다르게 20세기의 사람이다. 독일 뷔츠부르크에서 태어난 하이젠베르크는 유년시절을 뮌헨에서 보냈고 뮌헨대에서 아놀드 ... ...
2050년대 땅위의 인공태양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30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이 30일 대전 유성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을 방문해 'KSTAR' 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왼쪽부터 유석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 민원기 외교부 과학기술협력대사, 임 장관이다. 과기정통부 제공. 2050년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을 위해 향후 5년간의 핵융합에너지 개발 계 ... ...
진원 깊고 지반 단단해 피해 적었다…제주 지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km 해역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한 14일 오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도의 한 식당에서 주방에 있던 주민이 흔들림이 감지되자 황급히 뛰어나오고 있다. CCTV 화면 아래에는 오후 5시 19분 23초라고 적혀 있다. 가파도는 이번 지진의 발생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섬이다. 연합뉴 ... ...
리튬이온배터리 대체할 나트륨-반고체 배터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에너지11은 배터리 전해질을 액체 전해질 대신 하이브리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폭발 위험이 없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에너지11 제공 지난달 30일 전북 완주 봉동읍 배터리 개발업체 에너지11의 기술연구소 내 연구실. 작업용 책상 위에는 못으로 구멍을 낸 배터리셀 20여 개가 쌓여 있었 ... ...
2024년 취역 해저탐사선 '탐해3호' 설계 마치고 본격적인 건조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탐해3호의 3차원(3D) 물리탐사를 모식도로 나타냈다. 지질연 제공 해저 에너지자원을 탐사할 6000t급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가 2024년 공식취항을 목표로 본격적인 건조에 들어간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진중공업은 지난 2일 오후 2시 30분 부산영도조선소에서 ‘탐해3호 건 ... ...
美 개발한 새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기술 '성능 그대로, 수명 늘고 쓰레기 줄고'
동아사이언스
l
2021.10.25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과학자들이 시장에서 판매되는 기존 제품의 수명을 뛰어넘는 재활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성능을 내면서 수명이 더 길어 향후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또 배터리의 주요 부분은 계속해서 재활용이 가능해 환경오 ... ...
블랙홀이 뱉은 제트가 가던 길 멈춘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와지마 키요아키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활동 은하의 중심부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분출된 제트가 뻗어나가는 과정을 관측했다. 제트 끝 부분의 가장 밝게 빛나는 영역인 열점(b)은 블랙홀에서 점점 멀어지다가 고밀도 가스 영역에 가로막혀 1년 간 이동을 멈췄다. 그 뒤 고밀도 가스 영역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아민 기반 킬레이트를 배터리 전해질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마그네슘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밀도
를 kg당 412Wh의 높은 수준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8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마그네슘이 속한 2족 원소는 주기율표의 두 번째 줄에 있는 화학 원소들을 뜻한다. 전자 2개를 잃고 양이온이 되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음극재 없는 리튬전지용 음극 집전체 구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8
개발하고 작동원리를 찾아냈다고 7일 밝혔다. 음극재가 없는 리튬전지는 기존 전지보다
에너지밀도
를 60% 높일 수 있으나 리튬이 금속 형태로 음극에 저장되면 리튬이 계속해 손실돼 충방전효율이 떨어진다. 김 교수팀은 3차원 음극 집전체 표면의 전자를 빼내는데 드는 에너지를 높여 리튬 손실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