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β카로틴, 알츠하이머병에도 효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쥐의 약 60분의 1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카로틴이 적혈구막에 도달한 뒤
스스로
과산화됨으로써 막 인지질의 과산화를 막는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카로틴과 짧은 구조의 화학물질을 합성하면 알츠하이머병의 예방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생각이다 ... ...
화성, 잰걸음으로 프레세페성단 통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기다리는 우리의 가슴을 더욱더 설레이게 한다.이달 쌍안경을 이용한 화성관측을 통해
스스로
태양계 밖의 집단, 즉 먼하늘 물체중의 하나인 성단을 찾아보는 기쁨을 누리기 바란다.■화성, 프레세페성단을 관통붉은 행성으로 잘 알려진 태양계의 네번째 행성인 화성이 이달 16일부터 20일 사이 ... ...
동물도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심지어 최근에는 늙거나 병의 말기에 이른 환자들이 가족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스스로
죽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연구자들은 이러한 식의 추론들이 흔히 정신 이상이나 돌봐줄 사람이 없어 외롭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살이라는 행동을 정당화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꺼려하고 있다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관련된 공식입장을 천명했다. 엠팔은 전자게시판(BBS:Bulletin Board System)을 개발해서
스스로
컴퓨터 통신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전자게시판이라는 것은 정보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대형 컴퓨터를 이용해서 전자우편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용량이 비교적 큰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서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과정부터 크게 다르다. 흰개미는 불완전 변태를 하며 애벌레는 활동적이고 부화 후 곧
스스로
먹이를 챙겨 먹는다. 이에 비해 개미는 완전 변태를 하며, 애벌레는 다리가 없어 움직일 수 없는 구더기여서 발육의 전 기간동안 먹여주어야만 한다. 그후 애벌레가 번데기로 바뀌는데 군집의 초기에는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지구가 아니라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으며 그 위상이 변하는 것으로 보아 금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빛을 반사해 빛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우리는 여행할 때 차창 밖으로 보이는 전봇대의 크기가 그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보이며 이를 이용하면 각 전봇대까지의 거리를 구할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장소. 지구처럼 대기라는 보호막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장소에 거주시설을 건설하고
스스로
자급자족할 수 있는 경제 체제를 이룩한다는 것은 현재의 지구 중심 사고방식으로는 쉽게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달에서도 남북아메리카 대륙에 필적하는 독자적인 문명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이건 뭐뭐"라고 말해 주시던 것에서 오늘은 저희
스스로
찾아보고 질문만 하게 하셨지요.
스스로
공부하게 하는 방법을 현장에서도 적용해볼 생각입니다.임지춘-저희 상고에서는 한학기 18시간 수업을 전부 실험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학생들을 필드로 데리고 나가는 수업은 시간적인 ... ...
(3) 인공단백질 합성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효소에 전달하여 그 효소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있을까, 캘모듈린은 정보를 받으면
스스로
의 입체구조를 바꾼다. 이 변화는 곧 활성화 될 효소에 전달되고 마침내는 효소 활성화로 이어진다. 캘모듈린은 말이나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칼슘이온 농도 변화라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 몸을 ... ...
놀라운 식물의 방어전략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방해한다. 그러나 이것이 통하는 것도 잠시다. 언제까지나 이런 허장성세로만 식물이
스스로
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1960년대 말부터 식물의 중요한 대사산물이 아닌 많은 이차산물이 중요한 생태적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졌다(Harborne, 1982). 이차산물들의 기능 가운데 중요한 것은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