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공저자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 최고 수준의 과학자가 구축한 연구 네트워크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생리·의학 분야의 젊은 국가과학자는 사회적 자본이 상대적으로 부족했지만 그 속에서도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냈고,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된다. 화학 분야의 중견 국가과학자는 노벨상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땐 오류의 가능성이 없어야 하고, 또 실제로도 오류의 가능성은 0에 가깝다.이처럼 신원 확인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 이미 신원이 확실한 데이터가 마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치아검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한 5만8000명의 자료, 흉부 엑스선 방법에 사용한 수만 장의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얻은 자료를 눈으로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바람의 흐름, 요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기체 전체를 시뮬레이션한 데이터가 크다는 점이다. 박수형 건국대 교수화 함께 한 헬리콥터 가시화의 경우, 데이터가 1.4테라바이트였다. 일반 PC로는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토론해야 해요. 이전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에서 문제를 풀고, 논리가 맞는지 확인하는 데 토론만큼 좋은 게 없답니다.수학자뿐 아니라 과학자와도 함께 연구해요!미국 텍사스주립대 수리과학과 이선영 교수저는 컴퓨터 계산을 통해 편미분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팀은 몸집이 큰 물고기가 인이나 질소를 더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지 실험으로 확인했다. 물고기를 크기에 따라 수조에 30분 동안 넣었다가 뺀 뒤 물속의 인과 질소의 양을 쟀다. 그 결과 물고기들은 몸집에 비례하는 양만큼 질소를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결정된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어떨까. 지진이 계속 일어날까. 일단 활단층이 확인된 이상 피하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다만 규모 7.0 이상의 강한 지진에 대해서는 아직 확답을 할 수 없다. 경주 지역의 지진은 1500년 된 신라 유적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물 1744호인 불국사 대웅전의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비교했고, 그 결과 세 종 모두 백악기 때 처음으로 멸종률이 종분화비율보다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 미국 UC버클리 폴 렌 교수팀은 인도의 데칸고원에서 일어난 대규모 화산 폭발과 운석충돌이 동일한 시기에 일어나 공룡이 멸종했다고 2015년 10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뒤이어 미국 미시간대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실 컴퓨터로 전송된다. 실제로 홈페이지에서 특정 해역에 어떤 고래가 지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OI는 앞으로 이 정보를 선박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배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하게 해 고래가 배를 피하게 할 계획이다. 하늘에서도 기계와 동물의 충돌을 막으려 노력중이다. 비행기가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전자의 특정 서열을 수십억개씩 복제해서 그 유전자가 바이러스나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한다.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프라이머는 목표 유전자의 원하는 부위에 달라붙어서 DNA중합효소가 유전자를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00개 정도의 센서가 있어서 열차의 바퀴에 가해지는 힘이나 열차의 흔들림 등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다.][인터뷰 : 2020년엔 해무를 만날 수 있어요!최성훈(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연구본부 고속열차연구팀 책임연구원)더 빠른 열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열차 자체를 빠르게 달리게 하는 기술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