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용"(으)로 총 3,3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손바닥 보듯이 지구의 모습을 정확히 그려 낼 수 있지만 옛날 사람들은 어떤 방법으로 지도를 만든 거지? 사람들이 편하게 지도를 이용하게 하고, 알려지지 않은 곳을 지도로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한 역사 속의 인물들을 만나 보자. 세계 최초의 세계 지도를 만든‘헤카타이오스’ 기원전 6세기 경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당시로선 드물게 세계의 지리와 역사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잠수정을 위한 교통 지도도 생기겠지. {BIMG_l14}직접 체험할 수 있는 지도 등장 ‘지도는 평면이다’란 생각은 버려! 미래의 지도를 이용하면 3차원 가상현실을 통해 생생한 역사 체험이나 지리여행을 할 수 있다. {BIMG_R15}알아서 모셔 주는 교통 서비스 GPS 서비스가 더욱 진화된다. 갈 곳만 미리 입력하면 자동차가 스스로 알아서 목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7
- 찾아 낸다.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도 알 수 있다. 또 비행장에 진짜 비행기와 나무로 된 가짜 비행기를 섞어 놓아도 온도 차이를 이용해 진짜 비행기를 찾아 낸다. 이 위성은 한반도뿐 아니라 지구 전체를 촬영할 계획이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 과거 속으로 1610년 1월 7일 갈릴레오, 이오 등 목성의 세 개 위성 발견 갈릴레오 갈릴레이에게 1 ...
- 제1회 청소년 과학모형경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통과하는 로봇인 라인트레이서(로봇부문), 땅과 물 위를 떠서 움직이는 호버크래프트(에너지부문), 전자기력과 자기부상의 원리를 이용하는 자기부상차(첨단물리부문), 에너지와 속도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 법칙을 이해해 만드는 롤러코스터(물리부문) 등 여러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어요. 친구들의 뛰어난 실력과 기발한 아이디어가 만나 만들어진 멋진 ...
- 매직 크리스마스! - 3개의 선물상자를 열어라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10! 1. 로베르 후뎅(프랑스, 1805-1871) : 특기_사람 띄우기 근대 마술의 아버지로 불리며 최초로 연미복을 입고 마술 공연을 했다. 과학을 이용한 장치를 만들어 뛰어난 마술 공연을 선보였는데, 체스를 두는 자동인형, 씨앗에서 싹이 나고 열매를 맺는 오렌지 나무 등이 유명하다. 1848년에 처음으로 허공에 사람 띄우기를 했으며, 마술 ...
- 매직 크리스마스! - 3개의 선물상자를 열어라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바로 여기에 크기 착시가 쓰여. 즉, 우리가 볼 때는 주변 어디에도 마술사가 몸을 숨길 공간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착시를 이용해 그렇게 보이도록 한 거야. 관객이 보기에는 아주 좁아 보여서 저기에 몸을 숨겼을 거라고 생각할 수 없는 공간이 실제로는 몸을 숨길 만큼 넓다는 거지. 여기에 다른 사람이나 장치의 도움으로 마치 몸이 나누어진 ...
- 업그레이드된 산타클로스의 썰매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3
- 프로펠러 덕분이지요. 그렇다면 썰매나 자동차도 공중에 뜬 채로 움직이게 할 수 있을까요? 현재로선 불가능합니다.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공중에 뜬 채 움직이는 자기부상열차가 있지만 그림 속의 썰매처럼 공중을 나는 모습은 상상으로만 가능한 일이지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가까운 미래에 자동차가 하늘을 길 삼아 달릴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 ...
- 2006 최고의 과학 발명품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3
- 우산 비가 오는 날 우산에 뭍은 물기 때문에 바닥이 흥건해지기 일쑤다. 특히 버스나 지하철에서는 더더욱 불편하다. 최근 나노기술을 이용해 개발된 젖지 않는 우산을 쓴다면 원하지 않는 물기 때문에 바지를 적실 일은 없다. 자체 진동으로 물기를 털어 버릴 수도 있다. 감정이 전달되는 옷 허그 셔츠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 목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
- 건강한 이로 미소천사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061129
- 내고,다른 재료로 메꾸는 거예요. 이 때는‘레진’ 이라고 하는 합성수지나 아말감, 금을 이용해요. 보통 영구치가 난 뒤에는 금을 이용 하는데, 금은 우리 몸에 해가 없을 뿐 아니라 부딪히면서 적당히 늘어나고 펴지는 성질이 있어 씹는 활동에 따라 이가 잘 맞물리게 돼요. 하지만 충치가 심해져 신경조직까지 퍼지면 좀 더 복잡한 방법으로 ...
- 나를 닮은 로봇 vs 로봇을 닮은 나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로봇의 능력이 부럽기만 한데, 로봇과 도로시의 꿈은 이루어질까? 사람을 닮은 외모에 지능과 감정으로 무장한 로봇과 로봇의 힘을 이용해 육체적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사람. 과연 그들의 미래는 어떨지 알아보자. 내가 꿈꾸는 로봇 어린 시절 가지고 놀던 밀랍인형은 눈을 깜빡이지도 손가락을 구부리지도 않았다. 그저 차갑게 세상을 바라보기만 했다. 날 보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