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반
d라이브러리
"
높은사람
"(으)로 총 4,79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유전자에 대한 전체적인 지도가 그려지고 아니가 단백질 형성이나 질병과 연관된 각 유전자의 기능이 정확하게 밝혀지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바뀌게 될까?도대체 '인간게놈프로젝트'에 대해 세계 언론들은 왜 그렇게 야단법석을 떨고 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윤리의 파괴' ... ...
전문가로 똘똘 뭉친 한국의 리눅스 벤처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한국 리눅스 산업의 특징은 집중투자에 의한 고석성장,전문가 중심의 인력구조로 요약되고,리눅스 서버 같은 하드웨어와 리눅스 응용프로그램 분야로 크게 나뉜다.여기에 임베디드 리눅스가 본격적인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했고,부가적으로 리눅스 관련 교육사업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현재 ... ...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무료 운영 프로그램인 리눅스를 개발한 리누스 토발즈,그리고 이를 계속 발전시킨 수많은 전문가들.이젠 공짜라서 돈벌이도 안될 것 같은 리눅스를 배포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리눅스 관련 기업들이 부상하고 있다.리눅스가 뭐길래?1998년 11월초 오픈소스 운동의 리더인 에릭 레이몬드는 할로윈문서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하찮은 미물의 대명사로 곧잘 인용되는 곤충.하지만 동물 종의 80%를 차지하는 실질적인 지구의 주인이다.곤충은 조그만 몸으로 온갖 위험 속에서 4억년 전부터 이 땅에 살아왔다.곤충은 자연에 가장 잘 적응한 진화의 결정체인 셈이다.살아남기 위해 상상을 초월하는 기록을 갖게된 곤충의 이야기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컴퓨터 형사 가제트는 사이보그다. 평범한 경비원이던 그는 폭탄 테러를 당한 후 최첨단 기계장치와 잡동사니 일상용품들로 온몸이 채워지게 된다. 다리는 스프링처럼 늘어나고 머리에 달린 프로펠러로 하늘을 날 수도 있다. 몸에서 초강력 미사일을 발사하기도 한다.이런 가제트는 사이보그 동료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현대 문명의 단 한 면을 그렸다고 평가받는 '두 문화'.오늘날 인문학을 전공한 사람들과 자연과학을 전공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 단절이 얘기될 때마다 언급되는 이 책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과학교육적인 관점에서 스노우의 '두 문화'를 다시 읽어본다.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선택을 한다. 그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인간의 행동을 닮은 로봇군단 개발이 한창이다.인간보다 훨씬 작은 로봇들이 무리를 지어,스스로 판단하며 인질을 구출하거나 인체에서 수술을 수행하는 일이 목표다.수많은 소형로봇들이 벌이나 개미와 같이 무리를 지어 정보를 수집하거나 자원을 탐사하고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곳에서 협조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일년 중 반 이상이 겨울인 북유럽의 핀란드가 정보통신 분야에서 선도국가로 우뚝 섰다.유럽에서도 두드러지지 않는 나라.숲과 호수가 78%를 차지하는 핀란드가 어떻게 해서 인터넷과 휴대폰 분야에서 앞서 갈 수 있게 됐을까.주방에 있는 40대 후반의 어머니가 집에 오고 있는 자녀에게 음성인식 시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로봇이 인간처럼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생각하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면 어떨까.인류의 생활 수준을 껑충 뛰어오르게 만들 대사건임에 틀림없다.로봇은 인간의 추론능력을 어디까지 따라왔을까.어떤 성에 작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물고기들이 살고 있었다.어느날 성안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어떤 한사람, 한권의 책이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예를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런 특별한 일은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더해지면서 상황이 무르익었을 때 가능한 것이지 천재 한사람이 해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천문학 혁명을 이끈 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에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