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58면체인 브릴리언트 커트
모양
과 거의 일치했다. 또한 같은 58면체라도 다이아몬드의
모양
이 조금만 달라져도 빛을 아름답게 발산하지 못한다는 것도 알아냈다.아하! 실험 플러스 브릴리언트 커트의 수학적 성질브릴리언트 커트의 다이아몬드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정팔각형을 기준으로 삼각형과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일도 없다는 듯이 걷고 있었다.“적어도 이 층의 사람들은 시간의 붕괴에 휘말리지 않은
모양
이야.”“우주선은 왜 이곳으로 우리를 데리고 온 거지?”폴이 우주선에게 묻자 메시지가 떠올랐다.“이곳은 시간의 붕괴가 일어난 최초 지점입니다. 이곳에 시간의 붕괴를 막을 단서가 남아 있습니다.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구체화해 대략 2만AU의 원일점을 가진 대부분의 장주기혜성들이 태양계 바깥 어딘가에 공
모양
으로 모여 있을 것이라는 오르트 구름 가설을 발표했다.아직까지 오르트 구름의 존재에 대한 직접적인 관측 결과는 없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오르트 구름이 태양계 중심으로 들어오는 모든 장주기혜성과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자라면서 서로 이웃한 얼음 결정 사이에 바닷물이 농축돼 갇히기 때문에 가늘고 긴 기둥
모양
이 만들어진다.얼음이 물에 잠기는 깊이를 결정하는 밀도도 똑같이 만든다. 극지 얼음은 염분이 섞여있어 밀도가 0.8~0.93g/cm3로 일반 얼음보다 작다. 빙해수조에서는 얼음을 얼릴 때 수조 바닥에 설치된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1.34)과 비슷해 빛을 거의 굴절시키지 않는다.물고기의 시야를 보고 싶다면 이들의 눈
모양
을 본 따 만든 ‘어안렌즈’를 이용해 보자. 어안 렌즈로 사진을 찍으면 가장자리가 왜곡된 동그란 상이 찍힌다. 물고기가 보는 세상도 비슷하다. 눈이 돌출해 있는 만큼 시야도 사방으로 넓어서 수평으로 160°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뒤에는 여러분이 사는 동네까지 볼 수 있다. 조금만 더 확대하면 집의 형태나 마당의
모양
까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정원을 장식한 꽃의 종류까지 확인할 수 있을까. 아직은 한계가 있다. 언젠가는 극복될 한계지만.도시계획가라면 위성지도만으로 충분하다. 정원사는 다르다. 세계지도나 한반도, ... ...
마술 부리는 행성본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이미지로 실제와 거의 똑같이 만들었다. 거치대를 각 행성을 탐사한 대표 탐사선의
모양
으로 만들어재미를 더했다.행성을 공중에 띄워보자. 전원을 연결한 뒤 행성본을 적당한 위치에 놓으면 된다. 중력과 자력이 만나는 지점에는 마치 힘이 사라진 듯한 느낌이 든다. 이때 살며시 놓으면 신기하게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의문에 빠져 있었습니다.그러던 중, 2008년에 이곳에서 콩알만큼 작은 뼈가 발견됐습니다.
모양
은 새끼손가락의 뼈 같았지만, 사람들은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인류의 화석이 나온 적이 없었기에 이 뼈의 주인공이 인류가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동굴 곰의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그래서 ‘빅브레인’처럼 한 명의 뇌를 이용해 지도를 만들었다고 해도 개인별로
모양
이나 크기, 위치가 조금씩 달라 다른 사람의 뇌와 비교하기가 쉽지 않다. 어느 뇌 하나가 ‘표준 뇌’가 될 수는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굳이 실제 뇌를 이용해 표준 뇌지도를 만들 필요가 있을까. 신경세포의 ... ...
[life & Tech] 착한야식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맑아지기 시작합니다. 아무래도 날마다 저를 괴롭히는 올빼미 기질이 또 발동하는
모양
입니다. 다행히도 내일부터 주말입니다. 마음 놓고 ‘불금’을 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금에 빠질 수 없는 야식도 꼭 챙겨서 돌아가야겠습니다. 『한 밤의 야식은 칼로리가 0kcal이란다.말도 안되지만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