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뛰고 싶다는 꿈을 꾸기 시작했다.그 꿈을 이루기 위해 필자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시작했다. 컴퓨터 산업의 종주국인 미국, 그중에서도 펜실베니아대는 세계 최초의 전기 컴퓨터인 에니악이 탄생한 곳이다. 필자는 그곳에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컴퓨터 시스템 개발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연구팀의 방향이 맞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안심할 수 있었죠.”연구팀의 전기완
박사
는“세상에 없는 새로운 연구를 할 때는 잘못된 길로 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있다”며 연구팀의 연구 방향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소개했다.프로그램 개발은 수리연의 역할이 아닌 것 같은데, 왜 NIMSOFT를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도구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저널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이에 대해 브라운
박사
는 “물고기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과 달리 도구를 다룰 수 있는 신체기관이 입 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영장류에게 적용하는 도구의 개념을 모든 동물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더 무리가 있다”고 ... ...
피라미드의 수수께끼를 풀어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한참이 지나서야 아빠는 상자를 열었고 너무나 감격해 했다. 잠시 후 전화벨이 울렸고 원
박사
는 전화를 들고 기뻐하며 밖으로 나갔다. 상자를 닫고는 마지막 다이얼을 휘리릭 돌린 채…. 호기심 많은 천재소녀 제이는 과연 마지막 다이얼을 맞출 수 있을 것인가? 마지막 다이얼의 방향을 찾아라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경험이 모두 있을 거예요. 하품이 전염되는 걸까요?미국 뉴욕주립대학교의 고든 갤럽
박사
는 대학생 44명에게 하품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을 보여 줬어요. 그 결과 절반인 22명이 하품을 따라하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하지만 아직 하품이 전염되는지 확실히 밝혀진 건 아니에요. 그래서 지금도 많은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결과, 인간의 한계는 9초 48이라고 했어요.미국의 스포츠 의학전문가인 바실 에이시
박사
는 100m를 열 등분해서 10m 구간별로 주요 선수들의 최고 기록을 모은다면 9초 36도 가능하다고 주장했어요. 여기에 바람과 고도, 특수신발 등이 완벽한 조합을 이루면 9초 01도 가능하다고 했죠. 스포츠과학이 더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주사’로 활용하는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소개됐다. 일본의 지치의과대학 시게토 요시다
박사
팀은 모기의 침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넣었다. 그리고는 모기에 물렸을 때 백신을 접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실험해 항체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했다. 과학자들은 사람마다 모기에 물린 효과가 ... ...
빙글빙글 돌리면, 어떤 도형 될까?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한단다. 알겠니?”“
박사
님 이렇게요? 넘어지지 않고 잘 도는 게 어려워요. 그런데
박사
님 갑자기 발레는 왜 배우는 거예요?”“빙글빙글 돌면 재밌는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지. 이제 옷 갈아입고 실험실로 가 보자꾸나.”아르키메데스의 회전체동전을 세운 다음, 손가락으로 쳐서 동전을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자체로도 특허를 받을 수 있어요. 1998년 미국 워싱턴주립대의 로버트 팔미터
박사
가 만든 쥐가 최초로 특허를 받았어요. 이 쥐는 성장호르몬을 많이 분비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해 정상보다 훨씬 몸집이 크고 몸무게가 무거워요.세계에서 가장 비싼 쥐도 바로 저 같은 유전자변형쥐예요. 1994년 미국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와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인문사회과학부 다니엘 케네디
박사
팀은 편도체가 완전히 파괴된 S.M.이라는 여성을 대상으로 타인과의 거리에 따른 쾌적도를 조사했다. 보통 사람 같으면 낯선 사람이 다가올수록 불쾌감이 커졌지만 S.M.은바로 코앞까지 다가와도 불편함을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