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표되는 경제장벽과 지적소유권 분쟁은 이제 우리가 미·일 어디로부터도 쉽게 기술을
이전
받을 수 없다는 사실을 날로 심각하게 확인시키기 때문이다. 90년 이후 정부가 제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과대학을 증설한다는 정책을 발표하거나 외국제품을 분해해 복사에 급급하던 기업들이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구성은 이 호수가 17세기에 러시아인들에게 발견되고 난 이후의 일이다.러시아인 진출
이전
까지 이곳에는 수렵생활을 하던 퉁구스족과 목축생활을 하던 부리야트족이 살고 있었다. 퉁구스족은 우리 한민족과 동일한 언어집단에 속하는 민족으로 수천년 전부터 이 일대에서 살고 있었다.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헤르쿨레스자리가 고대 그리스 인들에게 익명으로 남아 있었다는 사실은 이 별자리가 그
이전
의 문명, 아마 중동의 바빌로니아 인들에게서 전해진 것이 아닐까하는 추측을 하게 된다. 무릎 꿇은 자의 머리 헤라클레스의 머리를 나타내는 알파 별(α Hercules)은 뱀주인 어깨 근처에 위치한다. 이 별은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새로운 기계의 이름은 LARC라고 명명됐다. 모든 진공관은 트랜지스터로 대체되고,
이전
의 유니백(Univac)류와는 달리 순수하게 계산을 담당하는 장치와 외부로부터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전체 구조를 나누었다. 얼마나 그 배선구조가 복잡했던가 하면 기판위로 얽혀있는 배선의 두께만 5㎝가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최첨단 유전육종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기술협력이나
이전
을 하는데 날이 갈수록 인색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술개발력과 생산기술의 70%가 선진국 수준에 미달하고 있는 실정이나, 최첨단산업 테크노폴리스건설과 이에 따라 연구시설을 완전가동하는 새로운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소프트웨어에 관한 새로운 계기가 마련되었다. 360시리즈의 운영체제를 작성하는 일은
이전
의 어떠한 프로그래밍과제보다는 더 거대한 것이었다. 이 과제를 주도한 브룩에 따르면 소프트웨어과제는 다른 과제를 완성하는 것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고 한다. 즉 프로그램의 완성을 앞당기기 위해서 더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과밀화와 공해방지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공업단지를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으로
이전
시키고 수로나 터널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거대한 콤비나트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1975년 오키나와 해양박람회에서 전시됐던 해양도시 '애쿼폴리스'(Aquapolis)는 용지난과 공해문제 등으로 해양에 대한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루고 있었다. 콜롬비아 남부에 위치한 산 아구스틴(San Agustín)지방에서는 신대륙 발견
이전
에 사라졌던 이 생생한 인디언문화의 유적지와 석상(石像)들이 발견되고 있다.이 석상들은 넓적한 코, 큰 입, 사나운 표정을 짓고 있다. 또 길고 겉으로 드러난 송곳니를 갖고 있으며 머리는 비정상적으로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같다.지난해 10월에 소개된 매킨토시 신제품들이 저가형 모델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이전
의 매킨토시 기종과 비교한 상대적 평가에 불과한 것이다.전 매킨토시 기종 중에서 1백만원대가 하나뿐이라는 사실로 미루어, 매킨토시가 아직까지 IBM PC처럼 대중지향적이라고 말하기엔 이른감이 있는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수 있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44명중 38명이 20대에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그중 29명이 33세
이전
에 성취한 연구업적으로 수상하게 되었다는 것이 '20대 박사예찬론'의 배경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78년 이후 6백19명의 20대 박사를 배출했는데 최연소박사의 나이는 25세(모두 8명)였다. 이 최연소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