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반점이 길게 늘어서 있는 미호종개예요. 미호종개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사이를 흐르는
큰
하천인 금강에서 살아요. 서식지가 좁은데다가 각종 개발 사업으로 하천이 오염되면서 지금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호종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생겼어요.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커질수록 단층면도 커지고 지진파에 포함된 저주파수 에너지도 함께 증가한다. 하지만
큰
규모의 지진은 단층면이 수십~수백 초 동안 움직이는 과정에서 단층면보다 파장의 길이가 짧은 고주파수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 때문에 고주파수 신호에는 단층면의 전체적인 움직임과 관련된 모든 에너지가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부딪친 총알은 속도를 잃고 바닥에 떨어진다. 그래핀 방탄복을 입은 사람은 총을 맞아도
큰
주먹으로 펀치를 맞은 정도로만 느껴질 것이다. 원단은 그래핀-고분자물질 복합필름그럼 이제부터 그래핀으로 배트슈트를 디자인해 보자. 그래핀을 얻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기계적 박리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게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어서, 전자를 기존의 가속기보다 약 1000배
큰
힘으로 가속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면 테이블 위에 올릴 수 있는 크기의 차세대 가속기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노벨상 5개 중 1개꼴로 가속기에서 나와지금까지 가속기를 이용해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시대를 열 수 있는 이 혁명적인 성과는, 아인슈타인이 우리에게 남긴 마지막이자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 이를 가능케 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 수상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노벨상 축하하듯 5번째 중력파 검출전자기파로만 우주를 관측하던 인류에게 중력파라는 또 다른 ‘눈’이 생겼다.이 같은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배아 발달에도 혹스 유전자가
큰
역할을 합니다. 초파리에는 여러 개의 혹스 유전자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데 진화 과정 동안 복제가 일어나면서 쥐와 인간의 유전체에는 이런 그룹이 4개나 존재 합니다. 혹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는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그 위에 그레이비 소스와 응고된 치즈를 얹어 먹는 음식인데, 어마어마한 열량만큼
큰
힘을 내줍니다. 1950년대 퀘백 주에서 먹던 푸틴이 원조이지만 현재는 캐나다 어디서나 식당에 가면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선정했다. 탈 진실이란 ‘객관적 진실보다는 개인의 믿음이나 감정이 여론을 정하는 데
큰
영향을 주는 환경, 또는 그 조짐’을 뜻한다. 그만큼 가짜 뉴스가 넘치는 시대라는 뜻이다.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학과 교수인 저자는 그릇된 정보에 속지 않으려면 과학적 사고 습관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이어 붙여 만들어요. 다리나 건축물 등에 널리 쓰이는 구조로 쓰는 재료의 양에 비해
큰
무게를 견딜 수 있습니다. 거대로봇 대결! 승자는?미국 기업 메가보츠는 최근 자신들의 기존 거대로봇 ‘마크-2’를 개량한 ‘이글 프라임(마크-3)’을 발표했어요. 이 로봇은 격투 로봇이에요. 메가보츠의 ... ...
통계 법정 사건의 재구성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최종 변론에서 검사는 수학자가 가정한 각각의 확률은 매우 보수적으로, 즉 최대한
큰
값으로 정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추정치는 1200만분의 1이 아니라 10억분의 1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콜린스 부부 이외의 사람이 범인일 수 없다는 거지요. 배심원들은 이 말에 혹해 유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