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5,53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03
손상부위가 있는 우주왕복선의 아랫부분까지 이동해 사고의 심각성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을 것이고, 최악의 우주사고를 막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챌린저호의 사고로 비행의 날개를 접은 MMU가 이번 컬럼비아호의 사고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03
지구에 충돌할 확률에 비해 로또 복권 1등에 당첨될 확률이 비교적 낮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복권 당첨 확률보다 훨씬 일어나기 힘든 사건을 알아보자. 이런 사건 가운데 대표적인 예로 지구에 최초의 생명체가 태어난 사건을 들 수 있지 않을까.지구는 지금으로부터 45억년 전에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02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이후 1950년대에 실시된 초고층대기 핵실험 중에 우연히
확인
됐다. 당시 하와이의 가로등이 갑자기 소등된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 원인이 핵폭발 중 방사된 강력한 전자기파 펄스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던 것이다. 이때부터 전자기파 펄스 무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됐다.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02
점은 2001년 미국의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린, 달 토양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재차
확인
됐다.대충돌설은 1970년대 중반 두 그룹에 의해 각각 다른 관점에서 제기됐다. 미국 행성과학협회의 윌리엄 하트먼과 도널드 데이비스는 달에 있는 거대 크레이터를 만든 1백50km 크기의 투사체를 상상하다가 ... ...
3 월석에 간직된 잔류자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02
“루나 프로스펙터가 보내온 자료는 달 표면의 충돌 구조물 일부의 반대편에서 자기장이
확인
된 것이 증거”라고 밝혔다.그러나 주버 교수는 스테그만 교수의 연구가 달 형성 초기에 다이나모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되지는 못하지만 달 표면의 잔류 자기 형성과 용암 분출 시기가 같은 사실을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02
전까지 유전적 질환을 앓고 있는 부부는 임신 중 양수 검사를 통해서만 질병의 유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만약 질환을 물려받았다고 판명되면 생명을 앗는 임신중절수술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었다.하지만 착상전 유전자 진단법은 정자와 난자를 채취해 체외수정으로 일단 수정란을 만든다. 그리고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02
박막 위에 수직으로 성장해 있었던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2001년 여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
됐다.반도체 나노막대는 지름이 수nm에서 수십nm 이내로, 길이는 수μm 이상까지 조절이 가능하고 종횡비(길이 대지름의 비율)가 크기 때문에 초미세 나노소자를 제작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나노막대보다 좀더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02
부품을 모두 분해해 일일이 정상적인지
확인
하는 것이다. 센서 역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이 이뤄진다. 잘못된 부품은 곧바로 새 부품으로 교체한다. 충돌시험에는 고가인 자동차를 사용하기 때문에 꼼꼼히 준비하는 것이다.모든 사항이 준비되면 더미가 자동차에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02
이들 세 성단 중 단연 압권이다. M37에 속해 있는 별의 수를 세어보면 1백개 이상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 2월 2일 목성 가장 잘 보인다지구 궤도 바깥에 위치하는 외행성들은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 가장 관측하기 좋다. 이 시기는 ‘충’이라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02
정말 ‘복제된’ 인간인지 아니면 종교단체의 커다란 사기극에 불과한지는 아직까지
확인
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조만간 누군가가 ‘만든’ 복제인간이 사람들 앞에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일란성 쌍둥이는 복제인간의 미래 잣대그렇다면 복제인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