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수 없었던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조금씩 해결해준, 손에 얽힌 이야기를 자세히 살펴
보자
.비가 오는 어느 오후. 교문 앞에서 비를 피하고 있던 한 여학생이 아버지로부터 ‘데리러 갈게’라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받는다. 학교 앞에 도착한 아버지의 우산 속으로 뛰어든 여학생은 맑게 웃으며 ... ...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1등성 하나도 기억하자.만일 17일 날씨가 흐려 볼 수 없다면 다음날인 18일을 노려
보자
. 다음날에도 행성들의위치는 그리 바뀌지 않는다. 단 달의 위치에 많은 변화가 생긴다. 18일 달의 위치는 금성 바로 아래에 위치해 또다른 모습을 선사한다.19일에는 달이 더욱 가늘어진 그믐달 형상으로 변하면서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본영식 때는 어떻게 달라 보이는지 살펴보는 일도 흥미로울 것이다.월식 사진을 찍어
보자
달은 망원경이 없더라도 카메라, 삼각대, 릴리즈 등의 장비만 있으면 찍어볼 수 있다.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달의 모습을 한장씩 담을 수도 있고, 월식의 전과정을 한장의 필름에 연속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정칙성 문제가 있다.내년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생각해
보자
. 경험으로 봐서, 많은 후
보자
가 난립할 것이다. 그 중에 누군가는 대통령이 된다. 이 경우 해는 있으되 무엇이 해인지는 당장 알지 못한다. 물론 해가 없을 수도 있다. 당선자가 죽거나 부정행위로 무효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부위에서 그 차이가 현저했다.다음은 머리뼈 형태와 얼굴생김새 간의 차이를 알아
보자
. 이를 위해서는 두장의 사진이 필요하다. 각 그룹의 일반 얼굴 정면사진과 머리뼈의 방사선 사진을 각각 준비해 이를 컴퓨터상에서 중첩시켜 비교한다(그림4). 이 결과, 눈썹의 경우 안쪽 2/3는 눈확의 위모서리에 ... ...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않을 정도로 정교하다. 이런 표현이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먼저 얼굴의 표현에 대해 살펴
보자
. 먼저 피부가 받아들이고 반사하는 빛의 양을 결정한다. ①). 다음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굴곡의 변화를 표현한다(②). 마지막으로 피부의 모공이나 주근깨, 색깔과 잡티까지 피부의 실제적인 모습을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느끼는지와 같은 오래된 의문을 해결해주기도 한다.인간의 정보기관, 오감의 세계를 알아
보자
.눈이 귀를 속이는 영화 음향미국 다트머스대 인지신경과학센터의 제니퍼 그로 교수팀은 신경생물학 전문학술지인 ‘뉴런’ 2월호에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원숭이 뇌에서 청각신호를 전달하는 ... ...
심해저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이 지은 세계 최초의 해양과학소설‘해저 2만리’.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이 소설을 읽으며 깊은 바닷속에 펼쳐진 신세계를 꿈꿔봤을 것이다.그런 ... 해저 세계를 직접 탐험하는 일은 더이상 공상이 아니다. 눈앞에 펼쳐진 신세계 심해를 밝히는 모험을 떠나
보자
.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 비밀이 밝혀지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바닷속에 펼쳐진 놀라운 세계 심해를 탐험해
보자
.지구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권은 바로 해양이다. ‘해양’ 하면 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바다 표면만을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 해양의 대부분은 우리가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기능을 달면 불법 복제자를 쉽게 색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를 역으로 생각해
보자
. 이 저작물을 통해 악의 없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의 정보도 쉽게 알 수 있어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크다.내 저작물에도 워터마킹을!컨텐츠 유료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전세계가 디지털 저작권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