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품의 과학이 빚어낸 마술 버블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만난 면은 휘어진다.동일한 크기의 여러개 비누방울들이 서로 만난다면 어떨까. 19
세기
부터 과학자들은 크기가 같은 세 비누방울이 만날 경우 그 접촉면이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룬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120。로 만나야 전체 비누방울의 표면적이 최소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는 ... ...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 등장 40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우주선의 조종간이 테레시코바 이후 36년만에 여성에게로 넘어갔던 것이다.21
세기
에는 세계 각국의 우주비행사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개월간 함께 생활할 것이다. 여기에 요구되는 최고 덕목은 바로 팀워크다. 1973년 NASA가 우주비행에 대한 적합성을 시험하는 기간에 여성훈련생들은 지루함과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아이디어도 무선전력전송 기술에서 비롯됐다.무선전력전송의 개념은 한
세기
전인 1900년대 초 크로아티아 출생의 미국인 과학자 니콜라 테슬라가 최초로 제안했다. 그는 거대한 테슬라 코일에 3백kW 전력을 공급해 1백50kHz 주파수의 라디오파로 전력을 무선 전송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작은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둘 사이를 오가며 어디를 가도 비주류여야 했다. 그는 학문의 세분화가 점점 심화되던 20
세기
중·후반의 거센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와 같은 인물이었던 것이다.그 학생이 올 2월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했다. 바로 한양대 철학과 송상용(66) 석좌교수다. 송 교수는 한림대 사학과를 떠나 3월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20
세기
초 천문학자들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광경으로 대형 굴절망원경을 통해 본 구상성단을 꼽았다. 수많은 별들이 망원경 시야에 백사장의 모래알처럼 뿌려져 있는 모습이 장관이기 때문이다. 이달에는 그 모습을 찾아보자.보름달 크기에 50만개 별 몰려있어별들이 모여있는 무리를 ... ...
1 온난화 탈출할 비상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참여해 2001년 발표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3차 평가보고서는 21
세기
에 지구평균기온이 최대 5.8℃, 해수면은 88cm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충격적인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21
세기
지구온난화는 자연생태계는 물론 인간의 건강과 사회경제적 활동 등 인간의 모든 부분에 지대한 영향을 ... ...
자연의 빈자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뒀다. 책에 있는 대부분의 동물은 본격적인 신세계 탐험과 식민지 확장전쟁이 이뤄졌던 19
세기
와 20
세기
초에 목격된 것들이다. 이들 동물의 마지막 기록자들은 동시에, 동물을 멸종시킨 장본인이기도 했다.플래너리와 샤우텐은 동물들이 살았던 섬과 사막을 머릿속으로 그려보고, 정말 그런 ... ...
스파이더맨처럼 벽 오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수 있다.일정한 넓이에 얼마나 많은 강모가 모여 표면에붙는가에 따라 접착력의
세기
가 결정된다. 아직은수kg의 물체를 천장에 붙일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지만 연구팀은 앞으로 어른 몸무게도 지탱할 수준에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의 목표는 이를 이용해 우주선 바깥표면을 걸어다니며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남쪽으로 달려 아프리카 남단에서 인도양으로 뻗은 대해령(大海嶺) 해령의 존재는 이미 19
세기
무렵에 알려졌으며, 심해저(深海底)로부터의 비고(比高)는 약 3,000m이다 신생대 제4기에 형성된 화산대 20여 개의 활화산과 여러 해저화산이 있으며, 해저분화도 흔히 볼 수 있다아프리카 대륙의 서안을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21
세기
에는 에너지 사용의 증가로 인한 지속적인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에너지의 생산과 사용, 그리고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대해 철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1997년 연간 7.4GTC(기가탄소톤)에 달했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210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