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90건 검색되었습니다.
러 백신은 공식 임상 3상 착수 후보 7종서 빠져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다만 5형 아데노바이러스(Ad5)를 전달체로 활용한다.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로 인체
세포
침투에 핵심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를 항원으로 만든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중으로 역시 임상 3상을 실시 중인 벡터 방식 백신 후보물질과 ... ...
[인간·공감·AI] ⑤ AI로 코로나19 백신 다양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현재 임상 3상 단계에 들어간 백신들은 주로 핵산(RNA) 주입 방식을 택했다. RNA를 인체
세포
가 읽고 바이러스 단백질 조각(항원)을 만들고, 인체 면역체계가 이 항원에 대항해 항체를 만드는 원리다. 박 센터장은 “이는 방식은 예전에 있었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라며 “RNA백신은 특정 ... ...
[백신 업데이트]중국 4번째 백신 임상 3상 합류…전세계 3상 7개로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주입하는 전달체(벡터) 방식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 중이다.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로 인체
세포
침투에 핵심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를 항원으로 만든다. 5월 말 1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독성과 부작용, 적정 투약 용량을 결정하는 임상 1상을 실시해 영국 의학학술지 ... ...
삼성서울병원 정밀의학 연구플랫폼, 연구중심병원 신규 지원사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지난 7월 3일 '미래 선도형 케이메드스테이션(K-MedStation) 구축을 통한 암 면역·
세포
·대사 치료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 확립' 과제가 올해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사업 신규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선정 과제를 통해 정밀의학 관련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환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침수가 길어지면 쓸 수 있는 녹말도 고갈되고 발효로
세포
질의 산성도가 커지면서
세포
손상이 일어나 결국 식물체가 죽게 된다. ○벗어나는 대신 견디는 전략 택해 널리 재배되는 인디카 품종 스와르나(Swarna)는 침수 내성이 없어 2주 동안 침수되면 죽어 물이 빠지고 2주가 지난 시점에서는 ... ...
사람 소장 닮은 미니장기 만들어 장내 미생물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확인했다. 락토바실러스균은 장 오가노이드의 내부에만 자라는 것으로 나타나 장 상피
세포
표면에 잘 달라붙는 것도 확인됐다. 손 책임연구원은 “오가노이드 연구분야의 가장 큰 목표는 성인을 모사하는 수준 높은 고기능 인간 오가노이드를 다양한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로 제공하는 ... ...
코로나19 신규 치료제로 기대 모으는 ‘아비프타딜’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판매되고 있다. 체내에 있는 VIP는 70%가 폐에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다. 이들은 2형 폐포
세포
와 결합해 염증 유발 단백질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LF-100은 또 기존에 진행한 동물실험에서 폐 감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입증했다. 최근에는 76명의 환자를 ... ...
해외유입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3건 확인..."보고된 적 없는 새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처음으로 발견한 변이기 때문에 감염력이나 병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세포
나 동물을 가지고 평가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한국에서 일어난 집단감염에서는 국내 발생은 GH 그룹이, 해외 유입은 GR 그룹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4월 이전에는 국내 발생 사례에서 ... ...
[팩트체크] 코로나19 '도쿄 변종'출현? 日연구소 "지역명 붙은 유형 출현 근거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확인했을 뿐 병원성 변화를 판정할 수 없다”며 “환자 임상 소견과 바이러스주의
세포
생물학 및 감염실험을 종합해 고려해야 한다”고 말해 이번 조사가 병원성과 관련한 암시로 보도되지 않아야 한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는 주기적으로 일본 내 환자의 검체를 확보해 ... ...
미국에서 퇴짜 맞은 진단키트...'더이상 굴욕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세포
와 결합하는 특성이 있다. 연구단은 S 단백질에선 머리 부분인 ‘S1’ 단백질과 인간
세포
의 안지오텐신결합효소2(ACE2)에 결합해 바이러스 침투를 돕는 수용체결합부위(RBD) 단백질을 만들었다.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에선 실험을 거쳐 항체와 잘 결합하는 단백질 N1, N2를 찾아냈다. 항원 여러 개를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