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d라이브러리
"
기억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과 슈퍼컴의 극단적 조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이상이 CD-롬 드라이브가 장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90년대 중반에는 컴퓨터 총
기억
용량의 30~40$ 정도를 CD-롬이 소화해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속질주하는 레이저 프린터세계적인 레이저 프린터메이커인 미국의 휴렛팩커드는 89년말 '레이저제트ⅡP'란 제품을 1천4백95달러 라는 ... ...
조셉슨컴퓨터 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후지쓰 히다치 등 일본기업들이 1칩 조셉슨컴퓨터를 개발했으나 논리판단회로와
기억
회로 부족으로 시제품단계에서 중단하는 등 실용화에 큰 진전을 보지 못했다.이번에 일본 전자기술종합연구소가 개발한 조셉슨컴퓨터는 기판위에 논리연산소자 순서제어소자 판독전용소자 등 4개의 칩을 병렬로 ... ...
PARTⅡ 신호등과 컴퓨터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기억
장치 속에 저장해 두었다고 거기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 시간계획을
기억
장치에서 인출, 긴요하게 사용하는 이른바 '패턴선택형'이 대부분이었다.이 패턴선택형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시간/주일 선택형'이다. 도로의 하루 사이의 교통량 변화는 대개 일정하다. 따라서 시간대로 ... ...
오른쪽 뇌 훈련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얻을 수 있다.미국의 한 의과대학생은 꿈을 다루는 방법을 익혀 꿈속에서 출제된 문제를
기억
했다가 모범답안을 작성해서 언제나 A학점을 받았다고 한다.꿈을 활용하는 세번째 방법은 꿈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일이다. 우리는 꿈의 내용을 사고 팔기도 하는 우스운 일들을 경험 하기도 한다. 우리 ... ...
하드디스크도 파괴하는 컴퓨터바이러스 완전 퇴치법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파일에 감염되는 예루살렘 바이러스, 일요일 바이러스의 다섯가지다.백신 Ⅱ 플러스는
기억
장소에 상주하는 다섯 가지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유무를 확인하여 이들을 무력화시키고, 부트 섹터 및 파일에 감염된 바이러스들을 제거해 준다. 또한 브레인 바이러스와 LBC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성을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시절에 따뜻한 햇볕이 내려 쪼이는 양지에서 여러 모양의 비누방울을 만들며 놀아본
기억
이 나지 않습니까. 무수히 흩어지는 비누방울이 공중으로 날아가며 만들어내는 여러가지 모양에 반하기도 하고, 햇빛을 받아 생기는 무지개는 정말 동심의 나래를 펴게 하여 동화 속으로 끌어들이곤 했습니다 ... ...
정보화 사회를 향한 기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만복이의 아버지 어머니 뿐아니라 할아버지 할머니 등 조상들의 생일과 제삿날을 모두
기억
하여 해마다 어김없이 푸짐한 제사상을 올리게 했으며 다른 머슴들 뿐아니라 이웃사람들의 길흉사때에도 인사를 차리게 함으로써 만복이를 마음씨 좋고 인정많은 갑부로 소문나게 했다.이것뿐이랴. ... ...
나의 딸─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무례한 학부모도 있지만 대부분의 학부모는 아주 친절하고 예의바른 사람들이다.내
기억
으론 내가 컴퓨터를 처음 만진 건 중학교 2학년 때였다. 그때 거세게 불었던 8비트 컴퓨터 바람 덕택에 중학교 컴퓨터반에서 금성 FC-100(8비트)를 만진 것이 처음이었다.하지만 8비트 컴퓨터 바람의 종식과 함께 ... ...
1메가 S램 양산체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삼성전자는 지난달부터 첨단반도체의 하나인 1메가S램의 양산에 들어갔다. 삼성은 지난 88년 10월 이 제품을 첫개발한 뒤 그동안 품질과 신뢰성 면에서 충분 ... 4억2천만달러.1메가S램은 엄지손톱만한 크기인 50㎟ 칩 속에 신문지 8면 분량에 해당하는 13만자를
기억
시킬 수 있는 반도체칩이다 ... ...
생명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등 각종 생리활성 물질들의 시판이 개시되었다.추측컨대 선진국에서는 1990년대에
기억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신경생물학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될 것이다. 또 노화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세포분화와 발생에 관계된 분자생물학의 연구가 심도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간의 전 유전정보의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