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종자 찾는 첨단 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하나인 ‘폴리스케치’를 개발했어요. 현재의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이지요. 연구단은 사람이 나이가 들면 얼굴이 어떻게 변하는지 사진을 보여주며 인공지능을 학습시켰어요. 그 결과, 인공지능은 만 5세부터 80세까지 얼굴이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하지요. 이 기술로 실종자를 찾은 적도 있어요. ... ...
-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34분 31초에 알람 모드가 해제되고 10시 34분 36초에 문이 열렸어요. 이 알람모드를 해제한 사람은 판다나였어요.Q 디지털 포렌식이 뭔가요?디지털 포렌식이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흐름을 조사해 범죄의 증거를 확보하는 기술을 말해요. 범인이 범죄를 인정하지 않을 때는 범인의 휴대폰,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뀔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를 올렸더니, 수상한 자가 특이한 고구마를 줬거든요. 그때부터 사람들이 이렇게 됐어요.”“누군가 의도적으로 마을의 기후를 망치려 했군요!” 용어정리*ppm: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ppm은 1kg의 물에 어떤 물질이 1mg 있다는 뜻이다 ... ...
-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된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입나요? 서식지를 잃는 게 가장 커요. 살 곳을 잃은 오랑우탄이 근처 민가로 내려와 사람들과 갈등을 일으키기도 하고요. 또한 산불 연기로 호흡기 질환을 앓기도 한답니다. 올해에도 저희가 보호하고 있는 오랑우탄 37마리가 호흡기 질환에 걸렸죠. Q BOSF는 어떻게 오랑우탄을 산불로부터 ... ...
-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이 기술을 이용하면 0.1ng(나노그램)의 DNA로도 개인을 알아낼 수 있어요. DNA 조각 안에는 사람마다 반복되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거든요. 따라서 범죄 현장에서 발견한 DNA의 반복 패턴이 용의자 DNA의 반복 패턴과 같다면 범인을 잡을 수 있는 거예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Go!Go!고고학자] 경주 고분을 외국인이 발굴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달리 납작한 모습으로 남았답니다. 신라의 왕과 찬란한 금관이 묻힌 무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봉분마저 잃어버린 처지가 된 거예요.‘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곳, 그곳이 바로 경주 아닐까요. 다행히 국립중앙박물관은 2016년부터 서봉총을 ... ...
- ㅇㅅㅇㅇ···우리 생물에게 우리말 이름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모아 한국어 이름을 짓고 있다”며 “생물의 모양과 사는 곳, 발견된 곳, 맨 처음 발견한 사람 등 고려할 것이 많다”고 설명했답니다. 국민이 직접 한글 이름 정한다!해양수산부도 작년 한글날, ‘해양 생물에 우리말 이름 지어주기’라는 대국민 온라인 투표를 열었어요. 이 조사를 위해 우선 생물 ... ...
- 독도는 우리땅! 알아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독도의 푸른 바닷속을 탐험할 기회를 준비했어. 독도는 접근이 쉽지 않아 아직 일반 사람들에겐 신비로운 섬으로 남아있어. 이번 탐험을 통해 미지의 공간인 독도의 바다 세계를 파헤칠 거야. 독도의 바다 생태계를 알아가는 일도 독도를 지키는 일 중 하나가 아니겠어?! ▼ 이어지는 기사를 ...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계절마다 볼 수 있는 물고기가 달라 다양한 바다 생태계를 자랑해요.독도 바다는 사람의 발길이 드물어 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명정구 박사는 “지금까지 독도에 사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은 해조류 223종, 성게나 문어, 조개와 같은 무척추동물 450여 종, 인상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쿼크(quark), 광자(光子, photon)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그렇지만 아인슈타인은 ‘광자’라는 말을 쓰진 않았어요. 이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미국 물리화학자 길버트 루이스예요. 1926년 과학잡지 에 보내는 편지에서 빛에너지를 전달하는 입자란 의미로 ‘광자’를 처음 썼지요. 이후 아인슈타인의 주장이 맞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지면서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