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감기 몸
살
결핵 등에 걸릴 위험성은 더 크다. 특히 거식증에 걸린 여성은 형편없이 말라서 비아프라나 이디오피아의 구호대상자들처럼 뼈만 앙상하게 남기도 한다. 기네스북에 오른 가장 가벼운 사람은 멕시코의 ... ...
바퀴벌레와 컴퓨터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훨씬 오래
살
수 있다. 지능을 갖춘 컴퓨터도 과학소설 속에서는 인류보다 더 오래
살
기도 한다.그러나 낙심할 것까지야 없다. 바퀴벌레와는 달리 마이크로칩은 스스로를 재생시키는 법을 모르니까 말이다. 아직까지는.When the first electronic calculators appeared-and wiped out sales of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합니다.정진규 가마우지가 배설물을 바위에만 싸는 것도 참 재미있는 일입니다. 자기가
살
고 있는 바다를 더럽히지 않으려는 건지, 아니면 물 위에서는 배설이 불가능한지 궁금합니다.양만화 수자원과 바다철새의 관계도 체계적으로 정리되면 좋겠습니다. 거제도연안에서 바다쇠오리가 있는 곳에는 ...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파래등이 끼어들지 않는 염산처리 방법을 개발해냈지만 양식장 주변의 바지락까지도 몰
살
시키는 염산의 유독성 때문에 이 방법은 일본에서도 금지되고있다. 윤씨는 일본인들이 외국인투자기업의 치외법권적인 특권을 이용해 우리 바다를 염산으로 더럽혀가며 대량으로 김 양식을 했다고 주장한다 ... ...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화공약품으로 정제한 가짜 식용유, 일본에서 들여온 디페닐 염소(diphenyl chloride)가 함유된
살
인식용유 등도 큰 충격을 던졌다.농약 항생제 BHT BHA 등을 마구 사용해 부패를 방지한 생선 어묵 냉동어육, 공업용 색소로 '치장한'(염색한) 가짜 영광굴비 등도 소비자들을 바짝 긴장시켰다. 또 질소 비료의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한번 날면 높이 오래 난다고.몸이 까매 물까마귀로 불리기도 하는 가마우지는 자신이
살
고 있는 바다에 똥을 싸지 않고 반드시 육지에 올라와 암벽에만 똥을 싼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한 것도 큰 수확. 가마우지의 공중변소가 된 암벽은 새하얄 정도로 새똥 범벅이 돼 있었다 ... ...
초대형 대합 인공 양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섬 파푸아 뉴기니와 호주의 여러 섬들에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그 결과 이제는 대합의
살
이 이 지역주민들의 주요한 식량원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루카스와 바커교수는 최근 피츠로이섬에 어장을 개설했는데, 대합구입을 원하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 주 고객은 대형 ... ...
고정관념서 벗어나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많은 아이디어를 생각하기 시작했다.그 결과 '진주조가비 구슬을 다시 진주조개의
살
로 싸서 조개 속에 넣으면 병이 나지 않고 빨리 자란다'는 사실까지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이 세계 각국에 특허로 등록되어 미키모토는 '세계적인 인공진주의 왕'이 될 수 있었다.아이디어는 질이 아니라 양이다.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조성한 좋은 예는 뉴욕시 중심부에 위치한 센트럴 공원으로서 필자는 바로 그 옆에
살
고 있음을 다행으로 여긴다. 뉴욕시민들은 센트럴 공원이 대충 모나코 왕국의 크기만 하다고 말한다. 위대한 조경설계가인 옴스테드와 복스씨는 불법거주자들의 판자집과 쓰레기로 가득한 환경으로부터 센트럴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기계를 만드는데 이론적 기여를 한 사람은 세기의 천재인 로버트 위너박사다. 그는 10
살
도 채 되기전에 고대 그리스어로 아버지와 농담을 할 정도로 신동이었다고 한다. 그는 아무리 중요한 세미나라고 해도 그 주제가 자신의 흥미에 맞지 않으면 사정없이(?) 졸아버리는 습관이 있었으며, 그렇게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