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호떡을 찍어놓듯이 완벽에 가까운 원형의 칼데라를 보유한 화산도 있다. 진드기 벌레 모양으로 칼데라와 그 주변의 화산체에 가지가 형성된 듯 보이는 화산도 관찰된다.화성은 지구 크기의 절반 정도지만 화성에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인 ‘올림푸스 화산’이 있다. 이 화산은 에베레스트 산 ... ...
- 비커 속에서 꽃이 폈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축제 때 과학 동아리에서 단골로 보여주는 ‘물유리 실험’. 물유리라고 부르는 규산나트륨 수용액에 금속염을 넣으면 규산염이 자라 ... 수도, 꽃잎처럼 넓게 만들 수도 있었다.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5월 17일자에 다양한 모양의 구조물 사진과 함께 발표됐으며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상하좌우로 변화를 주기도 한다. 류현진은 서클체인지업을 던지는데 엄지와 검지의 모양이 OK같다고 하여 OK체인지업이라고도 불린다. 왼손투수인 류현진이 던진 서클체인지업은 일반적인 체인지업에 비해 낙폭이 크고 변화가 있어, 손쉽게 메이저리그의 타자들을 헛스윙하게 만든다 ...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유체역학적으로 공기 저항을 덜 받아 에너지 손실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모양이 유지된다.이들은 보텍스 링을 인공적으로 만들면 따뜻한 공기를 찬 바닥까지 내보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소리의 파동을 이용해 보텍스 링을 만드는 장치를 고안했다. 이 장치를 천장에 설치했더니 ...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움직임이나 열 발산을 측정해서 추정합니다. ‘얼마나 크게’는 3D로 측정한 화산의 모양, 국지적인 중력 변화, 분출되는 이산화황 가스의 양 등으로 추정하고요.”용암이 분출해 지형이 바뀌면 매번 지형도를 새로 그려야 한다. 다음에 용암이 분출했을 때 흘러내릴 경로를 예상하는 데 필요하기 ...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2006년 남대서양 적도부근 한 열수구 입구에서 측정된 407℃가 현재까지 최고 기록).굴뚝 모양의 열수분화구는 지각 틈 사이로 솟구친 열수가 찬 바닷물과 섞이는 순간 침전이 생기면서 형성된다. 마치 검은 연기를 뿜어 내는 것처럼 보여 ‘블랙스모커’라고 부른다. 그러나 열수가 모두 검은색을 ...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과학동아 l2013년 06호
- dowsing으로 검색하면 강좌 동영상도 여럿 볼수 있습니다. 이걸 하는 사람은 흔히 L자 모양의 막대를 양손에 쥐고 걸어다닙니다. 막대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데, 걷다가 두 막대가 교차하는 지점이 있으면 그 아래에 수맥이 있다는 식입니다.수맥파? 그런 거 없다!다우징은 역사가 수백 년이 ... ...
- 글루텐과 이스트의 맛있는 합작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빵빵하게 부풀어 오른 반죽에서는 시큼하면서도 달달한 냄새가 났어요. 이제 빵 모양을 잡아 오븐에 구울 차례예요. 가소성이 좋은 글루텐 덕에 반죽을 아무리 밀어도 자꾸 원상태로 돌아와요. 정말 살아 있는 것 같죠? 반죽이 넓어지면 좌우 양끝을 안쪽으로 접어요. 그리고 접은 반죽을 아래에서 ...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플랫랜드(Flatland, 1884년)’는 제목이 의미하듯 평평한(flat) 세계(land), 즉 2차원 평면세계를 다룬 소설이다. 1부는 플랫랜드에 살고 있는 평면도형 자체에 대한 설명, 그리 ... 개선문 크기의 두 배다. 4차원 초다면체들은 상상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지만, 아름다운 대칭 모양이다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내려 지름 5km의 칼데라가 형성됐다. 본래 백두산 화산의 해발고도는 3500m로, 화산체 모양도 꼭대기가 살아있는 원추형이었지만, 상부가 무너지면서 높이 2750m의 칼데라 화산체인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백두산은 이후에도 26번 이상 분화했다. 백두산 분화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1903년, 1925년이다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