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551건 검색되었습니다.
3D프린터로 전기차를? 美 로컬모터스의 남다른 시도
동아일보
l
2014.03.20
채택했다. 랠리 파이터(Rally Fighter)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탄생한 로컬모터스의 첫 번째
상용
화 차량이다. 이 차량은 전 세계 500여명의 디자이너, 엔지니어, 자동차 전문가들의 협업으로 18개월 만에 만들어졌으며 여기에는 한국인 디자이너 김상호 씨도 참여했다. 파워트레인은 BMW의 3.0 트윈터보 ... ...
배터리? 인프라?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3.19
세종시 출퇴근 버스 노선에 적용했다. 독일 기업 ‘몸바디아’도 무선충전버스 기술의
상용
화를 준비 중이다. 김철수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은 18일 발표에서 “지난해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9만 5000대로 2012년 4만 5000대에 비해 111% 상승했다”며 “최근 전기차 업계는 이런 발전을 뒷받침 ... ...
대장균이 비행기를 움직인다고?
과학동아
l
2014.03.18
있는 사실을 연구팀은 알아냈다. 페랄타-야히아 교수는 “28mg은 극히 소량이라 아직
상용
화를 논하기엔 이르지만 생산된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며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효소결합 형태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쓰레기 종이로 플라스틱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3.17
‘리그닌 바이오 플라스틱’을 만드는데 성공하고 대량생산을 위한 설비를 건설해
상용
화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리그닌으로 고분자 물질을 만드는 등 신소재 연구에 이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물질의 열 안정성이 낮고 고온가공이 어려워 응용이 어렵다는 것이 걸림돌이었다. 연구팀은 ... ...
우유속 단백질로 화재 막는다
과학동아
l
2014.03.16
연구팀이 카제인을 발라 연소 실험을 진행한 면(좌)과 폴리에스테르(우). - 토리노공과대 제공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일종인 ‘카제인(casein)’이 화재시 ... 않았다”며 “카제인이 재료에 확실히 달라붙도록 만드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
상용
화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좀 더 깨끗하고 선명하게...화질 전쟁 뒤에 숨은 수학
수학동아
l
2014.03.14
교수는 “수학적 기법을 통해 깨끗한 화질의 저항률단층영상을 확보할 수 있었던 만큼,
상용
화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도 수학적 방법으로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지금같은 창조경제 정책 문제 많다"
과학동아
l
2014.03.14
“공과대학의 모든 연구실마다 창업을 권유한다는 아이디어는 처음부터 잘못됐다.” “국내 종자산업의 규모는 세계종자산업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심 ... 국민중심 안전망 구축’, 갈수록 심해지는 전력난에 대비한 ‘에너지저장기술
상용
화’ 등 다양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했다 ... ...
TV출연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한다
과학동아
l
2014.03.13
사용이 가능하다. 올 하반기부터는 국내 방송사와 공동으로 시험방송을 진행하고
상용
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ETRI는 이 기술을 국제표준화기구 동영상전문가그룹(MPEG)에서 만들고 있는 증강현실 응용포맷 표준에 반영하고, 국제전기통신연합(ITU-T)을 통해 증강방송 전송 규격에 대한 표준화를 ... ...
수면장애 치료해주는 전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12
불면증 환자에게 형광등은 적이다. 저녁에 형광등을 켜면 숙면을 돕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국민대 연구진이 개발한 백색 발광다이 ... 것”이라며 “스스로 조절가능한 센서와 회로의 개발이 이뤄진다면 3년 내에
상용
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일본판 황우석 사태?…자중지란 만능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성과는 무엇일까. 또 이들은 어떻게 다르고,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줄기세포 치료제
상용
화에 현실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성과는 무엇일까. ● “STAP세포가 존재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1월 30일 논문이 발표되고 제1저자인 RIKEN 오보카타 하루코 연구원은 일약 스타가 됐지만 이후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