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전산로 물리학’과 ‘전산 열 유동학’의 해석방법이 결합된 것으로 원자로를 실제
실험
장치 상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상에서 수치화된 가상의 원자로를 만들어 다루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 물리적인 현상이 원자로에서 복합적으로 일어나는데 수치 원자로를 통해 그것을 가급적 사실과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모습까지 있다.하지만 그 물체는 쫄깃쫄깃한 육포가 아니었다. 흰 포장지는 생물
실험
재료를 보존할 때 쓰는 파라핀이었고, 육포처럼 보인 물체는 흐물흐물한 뇌, 그것도 막 죽은 사람의 뇌를 얇게 저며 만든 시료였다. 이런 시료가 방 한 구석에 수십 장 쌓여 있었다. 도대체 어떤 연구를 하려고 이런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입자라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 1922년 콤프턴의
실험
에서 얻은 아이디어였다. 콤프턴의
실험
은 파동으로만 생각했던 빛에 입자적인 성질도 함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렇다면 입자로만 생각했던 전자 역시 파동이 아닐 이유가 뭐란 말인가?보어의 원자모형, 즉 전자가 원형궤도에 있다는 개념을 ... ...
가면이 울었다 웃었다 하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느껴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 8월 7일자에 발표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그림자가 위로 향해 있으면 슬픈 표정으로, 아래로 향해 있으면 행복한 표정으로 느껴진다고 응답했다. 카와이 교수는 “실제로 노가쿠 배우들은 물리적으로 똑같은 무표정한 가면을 쓰고 다른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실험
을 쉰다”고 말했다. ‘겨울보다는 한가하겠다’는 기자의 말에 “다가오는 겨울에
실험
을 정확히 하려면 여름에 보수 관리를 해야해서 오히려 더 바쁘다”고 말하며 웃었다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약 1000~5000개 수준이다. 박 연구원은 “이 정도 시료로 정확한 단백질체를 연구할 수 있는
실험
실은 세계적으로 다섯 손가락에 꼽을 정도”라고 말했다. 뇌과학에서 시료를 적게 쓴다는 것은 대단한 장점이다. 사람의 뇌를 구하기가 대단히 어렵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연구를 시작하던 3년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길이가 다른 깃털은 위로 떠오르는 양력을 최대한 받을 수 있는 구조다. 갈릴레오의
실험
에서 나오듯이 피사의 사탑에서 깃털을 떨어뜨리면 한참이나 지나야 땅에 떨어질 것이다.그러나 하늘을 나는 동물 중 깃털을 이용하는 것은 오직 새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얇은 막을 이용한다. 과거 익룡이 ... ...
큐브에서 움직이는 건물까지, 네덜란드 건축에는 OO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찾아가 보았다.큐브 속에 사람이 산다?네덜란드 제2의 도시 ‘로테르담’은 건축가들의
실험
실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독특한 건물들이 많은 곳이다.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건물은 바로 수십 개의 주사위를 이어놓은 듯한 모습의 ‘큐브하우스’다.네덜란드 건축가 피에트 블롬이 설계한 이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얻어 풀러렌의 분자구조를 추측하게 됐다고 설명했기 때문이다.크로토 교수는 자신의
실험
결과와 잡지에서 본 지오데식 돔을 참고해서 발견한 분자의 형태를 추측한 뒤 수학자들에게 도움을 청했고, 결국 풀러렌 분자 구조를 밝혀낼 수 있었다."저는 어릴 때 어린이 신문을 즐겨 읽었어요. 그때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➋ 15분 정도 지난 뒤 흙을 가라앉히고 물의 투명도를 확인한다. 물 정화 과정 알기2 흡착
실험
➊ 세포를 염색하거나, 산화-환원 반응을 알아볼 때 이용하는 메틸렌블루 용액을 숯에 붓는다.➋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내려온 물의 색을 확인한다. 숯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구멍이 많아 메틸렌블루 용액의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