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574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3년 만에 정상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마쳤다. 하나로가 성공적으로 정상 가동하면서 하나로 내 설치된 다양한 중성자빔
실험
장치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하나로의 다음 101주기 가동 일정은 22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다. 원자력연은 정지 기간 설비를 점검하고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과 재료 조사를 위한 장치를 원자로에 장전한다. ... ...
[랩큐멘터리] 반도체 재료의 대표주자 실리콘 나노기술로 한계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지난해부터 KCC 김천공장에 국내 최초로 공장 폐열로 전기를 만드는 열전발전 실증
실험
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실은 항상 회사보다 조금 앞서는 걸 목표로 한다. 대학이 앞서야 회사가 대학의 기술을 바라본다는 생각에서다. 연구실은 한 분야만 파는 게 아니라 반도체 공정부터 측정, 전산모사에 ... ...
연구실 안전사고 피해자 치료비 보상한도 높인다
연합뉴스
l
2021.06.02
개정 간담회…안전관리 제도개선방안 토의 지난 2019년 12월 27일 경북대학교 화학관 1층
실험
실 폭발 사고 현장 모습. 대구소방안전본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충북 오창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안전법) 하위법령 개정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고 ... ...
코로나19 한창인데 중국서 ‘H10N3’ 첫 인체 감염 사례, '퍼펙트 스톰' 가능성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분석됐다. 필립 클라에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국가간동물질병응급센터의 지역
실험
실 코디네이터는 “H10N3 유형의 조류 인플루엔자는 매우 흔한 유형은 아니다”며 “2018년까지 약 40년 동안 160개의 개별 조류 인플루엔자 유형이 보고된 가운데 대다수는 아시아와 북미 일부 제한된 지역의 ... ...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06.02
로봇손은 사물의 위치에너지를 계산해 물건을 가장 안정적으로 집을 방법을 결정했다.
실험
결과, 손바닥이 있는 로봇손은 물건 모두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잡았을 뿐만 아니라, 형태와 물성에 따라 집게손가락만을 이용하거나 손바닥을 지지대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구현했다. 버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그리는 화가’로 불렸던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 ‘비키니섬의 세 스핑크스’. 원자폭탄
실험
이라는 시사적인 주제를 다뤘다는 사실을 잊게 할 정도로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인다. 과적합뇌가설에 따르면 이런 그림을 감상하면 뇌의 과적합을 완화할 수 있다. ○ 꿈은 잠의 부가적인 기능 깨어있을 ... ...
[기자의 눈]임혜숙 장관은 왜 첫 외부일정으로 경북대를 택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분석이다. 이런 전례를 보면 대학 연구자 출신인 임 장관이 경북대를 찾은 것은
실험
실 안전사고를 가장 비중 있는 이슈로 보고 있다는 해석이 무리는 아닌듯 보인다. 경북대가 과기정통부가 관할하는 기관이 아닌데도 장관이 직접 나섰던 것도 이런 해석에 힘을 더한다. 임 장관의 행보엔 최근 ... ...
영국 코로나 변이는 '알파' 남아공 변이 '베타'로 부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을 서랍에 적어 놓은
실험
실의 모습이다. 세계보건기구는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이 일반인이 인식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그리스문자로 부르기로 결정했다. WHO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전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06.01
doi: 10.1073/pnas.2023356118 정보엔진은 150년 전 영국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의 도깨비 사고
실험
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방문을 사이에 두고 온도가 같은 두 개의 방 A와 B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여기서 초월적 존재인 도깨비가 방문을 여닫으면서 빠르게 움직이는 분자는 A방으로, 느리게 움직이는 분자는 ... ...
중국 "인공태양 1억2000만도 101초 유지 성공"...앞선 한국 기록과 단순 비교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높여 충돌 확률을 높인다. 송윤타오 ASIPP 소장은 중국 CGTN과 인터뷰에서 “이번
실험
성공은 중국이 자체 핵융합 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EAST는 2018년 플라즈마 온도를 1억 도까지 높인 바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은 한국이 핵융합 분야에서 지난해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