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는데, 그 곳에 이름을 올린 순수 이론물리학자는 아직까지 이휘소 박사와 조교수 딱 두 명이다. 조 교수의 지도교수는 네덜란드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게오르그 울렌벡이고, 울렌백의 지도교수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네덜란드 물리학자 파울 에렌페스트다. 에렌페스트의 지도교수가 바로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초기 어벙했던 모습과 달리, 이제 놀라울 만큼 높은 정확도로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명령을 수행한다. 때로 재치 넘치는 답변을 내놓기도 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다. IBM의 대표 인공지능 ‘왓슨’은 이미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장차 인간 의사를 대신해 환자의 유전 정보를 해석하고,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게 뻔하다.그러나 이 실장은 “인공지능이 ‘대체’할 일자리와 ‘보조’할 일자리를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학 지식을 학습하는 인공지능이 의사를 대체한다는 건 거짓말에 가깝습니다. 어디까지나 새로운 의학 지식을 빨리 습득하고 오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자일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인류에게 신종 감염병의 유행은 어쩌면 피할 수 없는 숙명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희망은 있다. 신종 감염병은 대개 병원, 그리고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비위생적인 병원 환경으로 인한 감염을 차단하고,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큰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동했을 때 변화율을 적용하는 것이다. 한국타자 중 일본에서 뛴 타자는 총 7명이다. 그 중 한국야구 초창기인 1980년대에 일본에서 뛰었던 백인천과, 일본에서 150타석에도 들어서지 못한 이범호는 제외했다. 분석 결과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동했을 때처럼 전체적으로 기록이 나빠졌다. 한 가지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빅데이터 분야와 비슷한 일을 하지만 다루는 정보는 이것보다 훨씬 큽니다.” 설명을 들었음에도 아직 의문이 남는다. 그래서 그 네트워크가 어떤 통찰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박 교수는 최근에 시작한 연구를 예로 들었다. 올해 2월부터 고려대, 국군의학연구소와 함께 극단적 심리상태에 따른 자살,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6를 샀다. 기존 알고리즘은 나에게 갤럭시6를 추천할 것이다. 하지만 실은 아이폰을 산 두 명이 나와 훨씬 친한 친구였다면? 연구팀이 밝혀낸 사실은 친밀도가 실제로 구매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논문에서 친밀도에 큰 가중치를 부여한 새로운 추천 알고리즘, 프리아마시(PReAmacy)를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간이 인공섬을 만드는 거지요.우리나라는 이 다리 달린 인공섬을 잘 만드는 것으로 유명해요. 지난해에 러시아 사할린 인근 바다에 세계에서 가장 큰 고정식 해양플랜트 플랫폼인 ‘아쿠툰다기’를 만들어 설치하기도 했지요. 이 플랫폼은 길이 105m, 폭 70m, 높이 21m나 되고 무게는 무려 4만 5000t이나 ... ...
- 재채기로 건물 전체에 바이러스 퍼진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재채기를 하는 모습을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했습니다. 재채기를 하는 사람의 주변을 조명으로 둘러싸 빛의 산란 효과로 물방울이 잘 보이게 했습니다. 그 결과 재채기로 뿜어져 나온 침방울이 모여 구름처럼 움직였습니다. 커다란 침방울이 먼저 땅으로 떨어지고, 이에 따라 가벼워진 구름은 더 ... ...
- 여름에는 누구나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통계 자료 중 하나인 ‘국가청년층수직조사’에 등록된 1957~1964년생 사람들의 자녀 8003명(1986년생까지)을 대상으로, 학창시절의 성적과 시험 당일 기온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실내 온도가 21℃부터 26℃가 될 때까지 비례적으로 수학 성적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수학 성적과 달리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