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용
이용
사용
실시
시행
활용
집행
d라이브러리
"
적용
"(으)로 총 4,2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더 싸게, 더 빠르게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적당한 값을 입력한 후 OK 버튼을 누르고 넷스케이프를 다시 실행하면 변경된 값이
적용
된다.인터넷 익스플로러 3.0 속도 올리기익스플로러 3.0은 홈페이지를 검색할 때 홈페이지의 구성 요소를 하나씩 순서대로 읽어온다. 홈페이지에 그림이 있으면 그 그림을 다 읽어들인 후 다음 그림이나 글자를 ... ...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최근 국릭과학수사연구소에 위조된 문서를 감정해달라는 의뢰가 폭주하고 있다. 한달에 접수되는 사건이 6백여건 이상. 하루에 20여건의 문서위조사건이 발생하는 ... 같은 느낌을 준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레일랜더는 사진의 역할이 미술계에
적용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하지만 쥐의 경우 아직 세포주기를 조화시키는 일을 성공시키지 못하고 있다. 사람에게
적용
이 가능할지는 전혀 미지수일 수밖에 없다.또 실험성공률이 매우 낮다는 점이 문제다. 윌머트 박사는 2백77회의 실험 끝에 ‘돌리’를 얻었다. 돌리가 정상적인 생식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도 현재로서는 알 ... ...
2. 인간의 질서에 도전한 리플리컨트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양이 탄생되었으나 ‘돌리’만이 살아남았다고 한다. 실패를 감수하면서까지 인간에게
적용
하기엔 무서운 실험임을 알 수 있다.복제인간들의 고뇌아이작 아시모프의 원작을 영화로 만든 ‘안드로이드’(The Android Affair)는 생체실험에 쓰기 위해 복제인간을 만들어낸다는 이야기다. 심장병에 걸린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인공심장을 몸 속에 넣은 채 ‘가볍게’ 움직일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아직 사람에게
적용
된 사례는 없다. 전기식 완전이식형이 목표우리나라는 1984년 이후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에서 전기식 완전이식형 심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88년 인공심장 ‘심청이’를 1백kg짜리 송아지에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신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혈액이 다시 환자의 몸 속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다.인공신장을 사람에 성공적으로
적용
시킨 최초의 사례는 1943년 급성신부전환자의 생명을 구한 일이다. 최근 노폐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없애기 위해 두단계 작전이 시행되고 있다(그림 2). 먼저 적혈구나 백혈구와 같은 혈구 성분과 이를 제외한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자궁경부와 같이 몸 안의 특수 부위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이다.하지만 환자에게 직접
적용
하는 사례는 그렇게 흔치 않다. 많은 정교함이 요구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수술을 위해서 굉장히 경비가 많이 필요하다는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신의 피부를 직접 이식하는 방법만이 시행되고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등장하게 됐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선사 시대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현대 생활에 다시
적용
시키는 것이다. 동굴벽화아이콘의 발달을 이야기할 때 구석기시대로 부터 신석기 시대(기원전 3만5천-4천년) 동굴벽화부터 시작하는 듯하다. 동굴벽화는 널리 알려져 있듯이 예술의 시초가 아니며 오히려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훈련시키는 코치들은 곡예사가 긴 장대 위에서 공중제비를 할 때 뉴턴의 운동법칙이
적용
되는지 안되는지를 따질 겨를이 없다. 하지만 따분해 보이는 이 물리학의 법칙은 곡예사가 더 멋진 묘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그래서 어떤 코치들은 악의 없는 거짓말을 하기도 하는데, 뒤로 공중제비를 할 ... ...
정자들의 전쟁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한판 승부고환의 크기를 통해 유인원의 교미체제를 설명한 쇼트의 이론을 사람에게
적용
해보면 흥미로운 결론에 도달한다. 인간은 재미 삼아 성교를 자주 하므로 오랑우탄이나 고릴라보다 고환이 크지만 난교보다는 일부일처의 혼인제도가 보편화되었기 때문에 침팬지보다 작은 고환을 갖게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