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민물고기, 디스토마와 중금속 오염 경계하자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디스토마는 간 흡충(吸䖝) 이라고도 부르는데 분포지역으로는 우리나라뿐아니고 일본, 중국, 인도, 타이랜드등 넓은지역이며 1874년에 '모코낼'씨에 의하여 인도에서 발견되었는데 사람을 비롯하여 개, 고양이, 돼지등에도 기생한다. 간디스토마 낙동강유역에 많아우리나라에는 특히 낙동강과 그 ... ...
- 조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정도로 줄어든다고 한다. 두루미는 20세기 초만 해도 소련의 동남부 시베리아(칸카호수), 중국 동북부(흑룡강 주변), 일본의 북해도 등지에서 많은 수가 번식하고 있었으나 인구팽창 산업화 오염 등으로 초습지들이 감소, 점점 줄어들고 있다.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두루미는 월동을 위해 시베리아나 ... ...
- 어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있는 사실은 피라미나 메기 붕어 등이 전국 어느 하천에서도 볼 수 있고 그것들은 모두 중국에나 일본에도 공통종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각국의 각 하천 상호간은 말할 것도 없고, 3개국의 하천 상호간도 과거 어느 시기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지질학자들은 1만2, ...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과학동아 l1986년 03호
- 로마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세 대륙에 걸쳐 수만㎞에 이르는 도로를 건설했지요. 중국의 대운하나 로마인이 도로와 함께 만든 수도 등도 당시 사회의 하부구조에 속합니다. 우리가 높은 생활수준을 바라는 한, 이러한 하부구조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우리는 현재 국제적인 ...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아니라 동물이름을 한자위주로 표기해 아쉬움이 크다. 그리고 분류의 방식도 '본초강목'(중국의 이시진 저,16세기)의 것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현생동물은 약 1백20만종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동물들의 종수가 이미 알려진 것보다도 ... ...
- 우주개발 30년과학동아 l1986년 03호
- 거둔 이유는 미국과 소련의 피눈물나는 경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도 일본도 그리고 중국도 뒤질새라 우주사업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일본도 우주왕복선을 자체개발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실정은 너무나도 한탄스럽다. 지구에 더 이상 살수가 없어서 남의 나라들이 우주대이민을 위해 ... ...
- 시대에 맞는 국민문화의 창조를과학동아 l1986년 03호
- 못하고 말았다. 그리고 실학사상이 일기 시작하여 다산(茶山)은 '경세유표'에서 중국의 앞선 기술을 흡수하여 국가발전의 새 기틀을 삼아야 한다고 건의하였지만 이 또한 일부 선각자의 주장으로 그치고 말았다. 이렇게 우리의 문화는 산업혁명 즉 '제2의 물결'을 감지하고 수용할 태세를 갖추지 ... ...
- 포유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들은 시베리아쪽의 것과 동종이거나 근사아종(近似亞種)이 많은 반면, 그 이남은 중국의 화북(華北)지방과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세계적으로 3천2백여종의 젖먹이동물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1백여종 정도가 살고 있을 뿐이고, 특산종으로는 멧돼지 사향노루 노란목도리담비 등을 비롯해 산달 ... ...
- 양서·파충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차지하고 있는 일본이나 중국에 비하여 종류수가 많지 않지만 위치적으로는 일본이나 중국의 종류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종류들이 분포하고 있다. 양서강에는 도롱뇽목과 개구리목이 있으며, 전자에는 3종, 후자에는 11종이 있다. 도롱뇽중 네발가락도롱뇽은 한지성으로 함경북도에서만 발견되며 ... ...
- 곤충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곤충이 섞여 살게 돼 있다. 따라서 구북계가 많고 동양계가 적은 한국 곤충상은 중국 북부 및 시베리아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고, 일본것과는 부류에 따라서는 다소 거리가 있다. 1950년대까지 전세계에서 발표된 곤충의 종류수는 대략 69만종에 달하는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종류수는 약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