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치"(으)로 총 4,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난 한 해 출연연 성과 살펴보니…미래형 선도기술 한가득2016.01.29
- 개발한 노로바이러스 검출 키트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고감도 미생물 질량분석장치도 주목받았다. 또 실명을 유발하는 3대 질환 중 하나인 황반변성을 혈액 검사로 간단히 확인하는 KIST의 진단 키트도 공개됐다.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출연연의 연구 성과는 국민의 삶과 국가 ... ...
- ‘천연가스’ 이용해 나노와이어 저렴하게 대량생산한다2016.01.28
- 등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이 기술이 전기자동차나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태양전지나 반도체 분야에서도 기반 기술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저널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2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곽상규(왼쪽), 박수진 ... ...
- ‘국산 인공태양’의 불꽃을 만든 과학자2016.01.27
- 만큼 우리나라의 핵융합 연구 수준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 그가 만든 가열장치는 2009년 KSTAR에 설치된 데 이어, 2010년부터 정상 운전을 시작해 이제는 핵융합로에서의 가동시간 300초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의 핵융합 연구에서도 원자력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원자 하나까지 반응하는 ‘궁극의 촉매’ 개발2016.01.27
- 수 있는 궁극의 촉매 시스템인 셈이다. 이 촉매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서 전기화학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도성을 가진 질화티타늄의 결함 자리에 백금 단일원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밀도범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으로 해석해 내는 ... ...
- 스마트워치로 문 열고, 스마트카드로 본인 인증 2016.01.25
- 캘리포니아 주 팔로알토에서 열린 국제 상호연동 시험에서 스마트카드, 스마트워치 인증장치, 아이폰용 간편 지문 인식기술 등 3종이 인증시험을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인증받은 기술 중 첫 번째는 스마트카드를 스마트폰에 터치하는 방식으로 주된 키 정보를 카드에 보관하기 때문에 ... ...
- 주행 중 핸들이 갑자기 제멋대로…‘시사매거진 2580’서 소개된 MDPS 결함, 대체 뭐길래?동아닷컴 l2016.01.25
- 반복한다고 전했다. 과연 원인은 무엇일까. 방송에서 전문가들은 MDPS라는 새로운 조향 장치의 결함을 의심했다. MDPS는 적은 힘으로 핸들을 돌릴 수 있는 파워 스티어링 방식 가운데 하나. 과거 엔진힘으로 유압 펌프를 작동하는 유압식 파워 핸들이 주를 이뤘지만 2000년대 들어 연비 개선과 조향능력 ... ...
- 5년 전 다친 무릎 속 인대에 생긴 흉터, 모니터에 선명하게 보여2016.01.22
- 현재 14T MRI 장치 도입을 준비 중이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보유한 7T MRI 장치는 인체의 모든 부위를 찍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백 팀장은 “인체 부위별로 전용 코일을 갈아 끼우면 된다”며 “간 등 일부 장기를 제외하고 신체 대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 고체 물리 한 분야에 일생 걸었던 외곬수 과학자2016.01.21
- 멋모르고 케이블을 손으로 붙잡아 연결하는 데 고기타는 소리가 나더라고요.” 실험장치의 전압은 54만V. 다행히 손을 빨리 떼 큰 부상으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자칫 평생 손을 못 쓰게 됐을 법한 사건이었다. 그는 “당시 지도교수님이 꽤 까다로웠다”면서 “석사과정인데도 요즘 박사학위 ... ...
- 3D프린터-사물인터넷-드론… 규제에 가로막힌 新성장산업동아일보 l2016.01.21
- 대용량 전기를 저장해뒀다 쓸 수 있는 전력저장장치(ESS)를 건물의 비상전원 공급 장치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 ‘파리 협약’을 통해 전 세계가 신기후체제 준비에 여념이 없지만 국내법은 에너지 관련 신기술들을 포용하지 못하고 있다. 기술의 흐름을 뒤쫓지 못한 규제가 3D프린터, ... ...
- 영하 196도의 세계를 다스리는 남자2016.01.20
- 현재 K1 전차에서 포수나 전차장이 보는 조준경에 들어가 있다. 위성에 쓰이는 열 영상 장치에도 탑재됐다. 그는 기계연에서의 생활에 후회는 없지만 “다시 하고 싶진 않다”고 조심스럽게 속내를 내비쳤다. 30년 전으로 돌아간다면 중·고등학생 때 꿈꿨던 이론물리를 공부하고 싶다는 것이다.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