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인터뷰] 첨단산업의 출발점 반도체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쓰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 중 하나”라고 말했다.전자장치에서 필요한
기능
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적의 상태로 작동하도록 설계했더라도 실제 제품으로 만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 TL은 “보통 신제품 설계에 1년가량의 기간이 걸린다면, 그중 절반 ... ...
LIMS 전 세계에 흩어진 지니봇을 내가 조종할 수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원격으로 다른 친구의 지니봇을 조종해 움직일 수 있어요. 지니봇끼리 소통하는
기능
은 온라인 수업에 활용될 수 있어요. 이제 한 반에 모여 다 같이 수업을 듣는 대신,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듣는 일이 많은데요. 이때 선생님과 학생들이 각자의 지니봇을 노트북이나 태블릿에 블루투스로 ... ...
[SF 소설] 화성의 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를 외칠 타이밍은 아닌 것처럼 보였다.총독 관저의 대학살은 사고로 발표됐다.
기능
을 알 수 없는 화성 기계가 난동을 부렸다는 것이었다. 살아남은 사람들 중 최윤옥의 ‘골짜기의 백합’에서 튀어나온 벌레를 제대로 목격한 사람은 없었다. 있었다고 해도 그 기억은 총독 옆에서 조립된 다른 ... ...
[4컷 만화] 최소한의 유전자로 산다! 미니멀 인공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스트찰스키 박사는 “7개의 유전자 중 2개는 세포분열에 연관이 있지만, 5개는 아직 어떤
기능
을 하는지 모른다”며 “생명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받아 장영실, 이천, 정인지, 정초 등의 과학자가 만든 시계입니다.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
을 하나로 모아서 낮과 밤의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죠. 일종의 주야간 겸용 시계인 거예요. 그런데 최근 일성정시의에 대한 새로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과연 무슨 일일까요? 6월 29일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여러 생물학적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에 동물에서 DNA 구조의 손상은 세포의
기능
과 노화에 결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우 교수팀은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의 잎에 DNA 이중 가닥 절단(DSBs)이 생기도록 했다. 그 뒤 이를 수리하는 효소(ATM)의 활성과 노화가 얼마나 ... ...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decoded neurofeedback)’을 소개했다. doi: 10.1038/s41562-016-0006 공포 기억에 해당하는 뇌활성을
기능
적 자기공명영상(fMRI)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분석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감지해, 기억정보를 떠올리지 않아도 뇌활성 패턴 분석만으로 부정적 기억 정보를 미리 읽을 수 있는 방법이다. 부정 ...
[연중기획] 학교에서 배우는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3탄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탄에서 다룬 데이터들이 인공지능에 주어진다면?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인식
기능
을 가질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인공지능이 인식하는지 살펴봅시다. 인공지능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속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노래 제목을 말하면 그 노래를 들려주고 궁금한 사물을 찍으면 이름을 ... ...
[한페이지 뉴스] 단백질 구조 예측 AI 소스 모두에게 공개되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단백질의 3차원(3D) 구조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왔다. 단백질 구조는 단백질
기능
과 직결되기 때문에 구조를 알아내면 연구자들이 신약 개발이나 생리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단백질 구조 예측 연구의 판도가 바뀌었다. 딥마인드가 ... ...
[한페이지 뉴스] 독사 어금니의 치명적인 진화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필치 교수는 “이빨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진화를 거듭하며 독을 주입하는 새로운
기능
을 얻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영국 왕립학회보 B 생명과학’ 8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98/rspb.2021.139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