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교육 찬반 토론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안건 1 - 계속해서 축소되는 수학 교육과정, 이대로 괜찮을까? 2018년 수학계와 교육계는 기하학이 빠지는 문제를 놓고 뜨거운 공방을 벌였습니다. 하지만 정작 학생들의 목소리는 제대로 들을 수 없었죠. 이번 라운드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교육 이슈에 관해 토론하고 의견을 모아봤습니다. 정효 :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전체 구조와 같은 모양의 작은 구조가 반복되며 전체 모양을 만드는 기하학적 형태를 말합니다. 브로콜리부터 유리에 생기는 성에까지 자연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프랙털의 성질을 탐구하고, ‘톡톡블럭’으로 아름다운 프랙털 모형을 함께 만들어 봅시다. 프랙털 구조에서 찾은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는 본질적으로 뒤샹에게 다른 시각을 열어주는 기회로 작용했습니다. 뒤샹은 리만 기하학에서 나오는 4차원의 개념을 수학적인 의미가 아닌 현재 3차원 세계를 ‘보충하는 차원’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색채를, 때로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4차원으로 여겼습니다. 이렇듯 ‘새로운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어려웠다. 남 교수팀은 거울상 구조를 포함하는 생체 분자 펩타이드를 응용해 새로운 기하 구조 형태의 금 나노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카이랄 구조는 편광 제어 특성이 있어 여러 색을 낼 수 있다. 이 연구는 ‘네이처’ 2018년 4월 19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doi:10.1038/s41586-018- ... ...
- [수학 체험실] 종이접기로 만든 아름다운 우리 문양, 소슬금 쪽매 맞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어떻게 만들었을까?왕이 살았던 궁궐은 아름다운 무늬로 가득하다. 그 중에서도 기하학적 무늬가 반복되는 금(錦)단청을 만들기 위해 우리 조상들은 종이접기를 활용했다. 특히 소슬금은 정삼각형 접기를 사용해 만든 가장 간단한 금단청 문양이다. 각도기 같은 도구가 없었지만 조상들은 질기고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모든 관점을 한 번에 볼 수 있었기 때문이지요. 그렇게 피카소는 프랑세와 4차원 기하학을 논하고,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고민하던 끝에 피카소만의 방법으로 여러 차원을 표현해 냅니다. 물론 피카소가 4차원의 수학적 의미를 알았다는 흔적은 없습니다. 다만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거리’라는 개념도 피타고라스의 정리 덕분에 생겼다”며, 피타고라스의 정리 없이는 기하 문제는 ‘아무것도 못 푼다’고 거듭 중요성을 강조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오늘날 편하게 사용하는 개념이지만 처음 증명했을 때는 세상을 뒤흔들 만큼 충격적인 발견이었다. 그래서 세상 모든 수를 ...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응시 인원이 분포하는 과목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리고 수능에서는 진로 선택과목인 ‘기하’를 출제범위에 포함시켜 문제가 되고 있는데, 교육부는 선택적으로 응시할 수 있는 과목으로 출제할 것이라 밝혔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지 혼란스러울 수 있어 학교 운영과정을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활동에 영감을 줬다. 그러나 무늬에 흥미를 느낀 건 예술가뿐만이 아니었다. 많은 선과 기하학적인 도형들이 규칙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돼 나타난다는 수학적 성질 때문에 수학자의 관심도 끌었다. 수학자들은 2차원 평면을 채우는 반복적인 무늬를 대칭성을 기준으로 하는 ‘군’으로 분류하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배울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 라이프니츠는 도형이나 공간의 성질을 다루는 학문인 기하학의 개념을 익히는 데 꼭 시력이 필요한 건 아니라고 여겼던 거예요. 예를 들어 바지를 입고, 양말을 신으면서 양말보다 바지가 더 크다는 사실을 익힐 수 있어요. 또 자신이 들고 있는 막대기나 신발은 자기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