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취미코딩] 게임하는 인간을 이해하는 곳, e스포츠 연구실을 가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코딩이나 통계 실력보단 과학적사고 능력과 글을 잘 쓰는 것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연구에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이며 이날 견학을 마쳤습니다 ... ...
- [과학뉴스] 단백질 구조 2억 개 품은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곧바로 단백질 구조 예측 팀을 구성했고, 2018년 공개한 알파폴드1은 단백질 구조 예측 능력 평가 대회인 CASP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성능을 자랑했다. 그 뒤 2021년 7월, 구글 딥마인드가 알파폴드2 소스 코드를 처음 공개했을 때는 약 2만 개 단백질에서 36만 개 구조를, 1년이 지난 지금은 100만 개 ...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못한다고 생각되던 자폐인이 책을 쓰고 강연을 한다는 사실은 일부 자폐인의 비범한 능력을 크게 부각시켰다. ‘자폐는 스펙트럼’이란 개념이 정설로 자리잡으면서 자폐인/비자폐인 이분법보다 인간 정신이 무수한 측면을 갖고 있으며, 모두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는 생각이 싹텄다. 1998년 역시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원인은 ‘항아리 지형’ ‘강남대로 하수관로 설치 오류’ ‘반포천 상류부 통수능력 부족’ ‘삼성사옥 하수암거 시공 오류’의 네 가지였다.지형이 항아리 모양인 걸 바로잡을 순 없으니 해소할 수 있는 건 나머지 세 가지다. 강남대로와 같은 저지대에 고이는 빗물을 지하의 하수관로로 흐르게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있음을 세특에 녹여냄으로써 저만의 전공적합성을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세부능력및특기사항 GIS(과학반)A : 세 번의 과학 강연을 듣고 자신이 느낀 바를 성실히 감상문으로 작성해 제출함. 사이펀 물 펌프, 수소폭명실험, 앙금반응불꽃색을 이용한 수용액 맞추기, 아스피린 합성실험, 나일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10년 만에 사라진 ‘게임 셧다운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법과 제도를 통해 강제로 게임을 못하게 하는 것보다 스스로 게임 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능력이 훨씬 중요하다는 뜻이죠. 게임은 적절하면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친구지만, 사용이 너무 지나쳐 스스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면, 하루 게임 사용 시간을 점검해 보는 것도 좋아요. ...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화학이나 생명과학을 더 좋아한다면 반도체학과 진학은 다시 고려하는 게 좋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물리학Ⅱ’ 과목의 전자기장, 파동과 물질의 성질 등은 사실상 반도체에 관한 내용이다. 이런 수업을 들어본 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어떤 진로를 택하고 싶은지도 ... ...
- [엄마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글쓰기 능력, 예술적 창조성, 느긋함”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있지만, 그 둘만이 기준은 아닌 듯하다. 적어도 준이의 경우에는 오히려 글쓰기 능력, 예술적 창조성, 그리고 느긋함이 그 덕목이 아닐까 싶다. 수학에 문외한인 나로서는 이러한 의외의 열거에 대한 부수적 설명은 무리이리라. 그는 조용한 성격임에도 친구들, 동료들, 학생들, 멘토들 모두에게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아름답다는 이유만으로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사람과, 이론을 유용하게 바꾸는 놀라운 능력이 있는 사람이 모두 필요한데, 본인은 앞의 유형이라는 거예요. 자신의 발견 중 일부가 다른 학자들에게 전해져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기를 바란대요. 확률론을 연구하는 전 세계 수학자들 사이에서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빠른 길이라 자평한다. 허 교수는 수학자로서 자기 자신의 강점으로 ‘언어를 다루는 능력’을 꼽았다. 7월 13일 강연에서 “수학과 같은 기초학문은 물론 이공계 어느 분야에서든 언어를 다루는 훈련은 생각할 줄 아는 힘이 된다”며 그 이유를 밝혔다. 허 교수가 시인을 꿈꾸던 시간이 있었기에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