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가장 처음 만들어 보는 게임인 ‘퐁(Pong)’으로 좌표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퐁은 1972년 미국 게임 개발사인 ‘아타리’에서 출시한 게임입니다. 탁구를 소재로 한 이 게임은 두 명이서 탁구채를 대신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판을 상하로 움직여 공을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특성을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잘 찢어지지 않고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분자를 설계하는 것이 강 교수의 목표다. 외부 충격에 강한 고분자 소재는 차세대 전자소자에 적용해 생체 삽입형 전자 장비를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다.분자를 조절해 소재의 특성을 바꾸는 연구는 기존 신소재 공학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H2A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UAE 출신 과학자와 기술자가 아말의 설계와 탑재체 개발을 모두 맡았다. UAE의 ‘아말’ , 아랍권 최초 화성 탐사 아말은 화성 궤도로 진입하면서 본격적인 화성 탐사를 시작한다. 궤도에 진입하면 55시간마다 한 바퀴씩 최대 고도 4만 3000km의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건설에 필요한 재료, 공법 등을 결정하는 순서로 이뤄진다. 윤 소장은 “디자인 설계 과정에서도 많은 사람과 창의적인 의견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오 소장과 윤 소장은 사람과 공학, 디자인을 모두 이해하는 좋은 건축사가 되기 위해서는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시각을 갖는 것이 ... ...
- 수학과 손 JOB아야 일할 수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골라내 업무에 활용하는 능력은 어느 분야에서든 중요하답니다. 회계(7.2%), 계산(6.7%), 설계(5.1%) 분야의 수학을 쓴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어요. 업무에 수학이 필요하지만 수학 지식이 부족해서 활용하지 못한다고 답한 사람도 9.4%나 됐답니다. 이렇게 어른이 돼서 수학의 필요성을 깊게 느끼는 사람이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함께 류구의 형상 모델을 구했습니다. 이 정보는 JAXA가 하야부사 2호의 임무와 탑재체를 설계하는 데 쓰였습니다. Q류구의 샘플이 과학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인류 최초로 소행성에서 샘플을 가져온 하야부사 1호의 경우, 수 μg* 분량밖에 안되는 샘플을 지구로 보내왔습니다. 이를 통해서도 ...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직접 투여하지 않고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쓰는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설계도’를 넣어 몸속에서 단백질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점이 다릅니다. mRNA 백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노버트 파르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교수는 “이론적으로 이 방식을 활용하면 어떤 단백질도 만들 수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캡슐을 개발했다. 소가 삼키면 이 바이오 캡슐은 소의 반추위로 들어가 안착하도록 설계했다. 소의 위 구조상 캡슐은 소화되지 않고 반추위에 남는다. 이 속에서 캡슐은 체온, 활동량, 위 산성도(pH) 등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일일 최대 300번 측정할 수 있다. 캡슐에는 통신망이 탑재돼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m 안에 있는 자동차나 사람의 위치를 파악한다고 해볼게요. 필요한 알고리듬을 큰 틀에서 설계하고, 세부 알고리듬을 정의한 다음 이를 코드로 구현하죠. 코드로 만드는 데서 끝이 아니라 알고리듬이 최적으로 동작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합니다. 하는 일과 수학은 얼마나 관련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예측할 수 있게 됐으므로, 반대로 3D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가지고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하는 ‘단백질 디자인’ 연구도 이전보다 훨씬 활발해질 것이다. 다만 현재의 알파폴드2에도 한계는 있다. 체내에서 특정한 3D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학습해 예측하는 데에는 높은 성능을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