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우주청소 위성도 차세대중형위성과 함께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이 올해 1월 2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ISS에서 우주 유영을 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에
구멍
을 낼 수 있는 소금 한 알 크기의 파편은 1억 개가 넘는다. NASA는 ISS와 인공위성에 가장 위협적인 우주쓰레기는 너무 작아서 추적조차 할 수 없는 파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 한 올 두께의 미세한
구멍
이 촘촘히 뚫려 있다. 이
구멍
사이로 자기장이 흘러 뮤온 입자를 재빨리 잡아낸다. 양 교수는 “대형 포일 세겹이 검출기를 감싸 10억 분의 1초 만에 사라지는 뮤온 입자를 포착한다”고 말했다. LHC는 원래는 검출기 성능을 높이기 위해 ... ...
서울대 도입한다는 신속PCR, 유행상황·검사방식 적절히 고려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관심을 모으고 있다. ○ RT-PCR vs. 신속PCR 신속PCR은 환자의 타액을 받거나 코, 목
구멍
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속에 담긴 바이러스 DNA를 수차례 복제해 바이러스를 특정하는 유전자를 대규모로 늘리는 검사법이다. 유전자를 늘려 일정치 이상의 유전자가 탐지될 경우 감염으로 판정한다. 반대로 ... ...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1.3km 밑엔 세계 최대 수중 ‘유령입자’ 검출기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가장 크다. 바이칼-GVD는 얼어 있는 바이칼호수 표면에 뚫어 놓은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
을 통해 호수 아래로 옮겨졌다. 검출기 설치 작업을 위해 얼어 있는 바이칼호수 위에 서 있던 러시아 핵연구합동연구소(JINR) 소속 물리학자인 드미트리 나우모프는 AFP통신에 “우리 발 바로 밑에 중성미자 ... ...
[동일본대지진 10년] 후쿠시마 사고 발생부터 영구 폐로 결정까지 19일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떨어뜨리는 냉각 작업이 계속됐다. 수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 지붕에
구멍
을 뚫는 작업이 이어졌다. 일본 원자력위원회가 2011년 3월 촬영한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폭발 사고를 일으킨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3호기의 원자로 건물 내부 영상. 사진은 폭발 충격을 보여주는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소리
과학동아
l
2021.03.09
구조를 3차원 분석한 결과 선사시대 사람들이 나팔고둥을 악기로 사용하기 위해 내부에
구멍
을 뚫은 흔적을 발견했다. 나팔고둥의 겉면에서는 붉은 염료를 바른 흔적도 발견됐다. 한쪽 끝에 입술을 대는 취구를 연결해 연주를 재현해보니 C음과 C#음, D음에 가까운 음파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캐럴 ... ...
타임머신으로 시간 거스르듯, 원자 ‘초흡수’ 현상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듯 시간을 역행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 체스판 모양의 나노
구멍
격자를 이용해 원자의 위상을 주변 빛의 위상과 반대가 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원자 10개가 일반 흡수보다 10배 정도 빨리 빛을 100%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빛의 세기가 ... ...
SF영화 '승리호' 속 기술 2021년 어디까지 왔나
수학동아
l
2021.03.06
있는 피하지방층이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요인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구멍
이 여러 개 뚫린 라텍스와 실리콘을 사용해 인공피부에 피하지방층을 구현했다. 이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은 다른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보다 물건을 조작하는 능력이 약 30% 뛰어났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참고해 유연한 로봇 물고기를 개발했다. 머리를 뼈로 완전히 감싸는 대신 중간중간
구멍
을 내 압력을 분산한 꼼치처럼 컴퓨터 칩과 배터리 등 전자장치를 떨어트려 배치하고 실리콘 그물망으로 감싸 압력을 덜 받게 했다. 로봇의 양옆으로 꼼치처럼 두 개의 지느러미를 달고 수축과 팽창을 하는 ... ...
미 대륙에서 나비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것이다. 반대로 해빙 면적이 줄면 바다로 쉽게 들어갈 수 있어 먹이를 쉽게 찾고,
구멍
을 찾아 헤매는 에너지 소모도 적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펭귄의 체중이 해빙 면적이 줄어들면서 오히려 증가했다. 다만 몇몇 종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동물들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