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해맞이, 국내 해돋이 명소는 어디?…미리 예약하자
포커스뉴스
l
2016.12.23
동쪽에 위치한 경북 포항 호미곶은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이다. 광장에 있는 바다와
육지
에 화합의 의미를 담은 '상생의 손'은 유명 포토존 가운데 하나다. 해돋이를 즐긴 뒤 인근에 경상북도기념물 제 39호로 지정된 호미곶등대와 국립등대박물관 등을 둘러보는 것도 추천하는 일정이다. 해넘이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해리 엘더필드’
2016.12.18
원소를 분석해 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지구화학자 '해리 엘더필드' - 케임브리지대 제공
육지
의 역사를 재구성하기도 힘들 텐데 하물며 해양의 역사는 알아보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감조차 오지 않는다. 분석화학과 방사화학의 최신 기법을 적용해 해양의 자연사를 상당부분 밝혀낸 해리 ... ...
60만개로 조각난 지구, 동물은 죽어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6
따르면, 현재 3600만㎞ 길이의 도로가 지표면에 펼쳐져 있다. 도로를 뺀 나머지 부분은
육지
의 80%에 해당하지만, 도로에 의해 60만 조각으로 갈라져 있다. 도로가 자연을 예상보다 더 잘게 쪼갰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놀랍게도 넓이가 1㎢ 미만인 땅 조각은 전체 조각 갯수의 절반 이상이었다. 100㎢ ... ...
무한도전 북극곰은 무사히 북극해로 돌아갈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04
최근 연구결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곰은 주 생활무대인 바다 얼음이 아닌
육지
에서 살아가는 기간이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리 스턴 미국 워싱턴대 극지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지난 35년 동안 북극에 얼음이 얼지 않는 기간이 약 7주 길어졌다고 지난 9월 밝혔다. 미국우주항공국(NASA)의 ... ...
코코넛 크랩의 가공할 만한 집게 힘!
2016.11.29
띈 보라색이나 부분적으로 붉은 갈색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앞서 언급했듯, 바다가 아닌
육지
생활을 하고 보통 집게로 땅을 파서 생긴 굴 속이나 바위 구멍 같은 곳에서 생활합니다. 주식은 코코넛이나 무화과 등의 과일이지만 잡식성으로 무엇이든지 먹을 수 있습니다. 이들의 서식지는 주로 ... ...
바닷물 분석해 희귀동물 ‘고래상어’ 개체수 알아냈다
2016.11.22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해 21일자(현지시간) ‘네이처 에콜로지&에볼루션’에 발표했다.
육지
에 사는 야생 동물의 개체 수를 추정할 때는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 얼마나 많은 개체 수가 서로 교배하고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이때는 털이나 배설물, ... ...
바닷가의 산더미 같은 소라
2016.11.21
가져가 요리를 해 먹었다고 한다. 허리케인의 바다 속도 다 뒤집어 버렸다. 바다와
육지
를 다 섞어 놓았다. 자연의 위력은 실로 대단한 것이라는 걸 다시 느끼게 만드는 사진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66년 전 잃어버린 ‘핵폭탄’ 발견돼
2016.11.10
없었기에 핵폭발은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미군은 설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육지
에서 터졌다면 큰 문제였을 것입니다. 당시 소련의 손에 이 민감한 핵폭탄이 들어가는 걸 막기 위해 미군은 샅샅이 뒤졌지만 잃어버린 핵폭탄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 ...
北·中 해양쓰레기 한국 유입경로 밝혔다
2016.11.05
홍수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강물을 따라 쓰레기 등을 포함한 많은 부유물이
육지
에서 바다로 유입되는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해류를 타고 이런 쓰레기들이 유입돼 들어온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9월 17일 강릉 일대의 해변에서는 중국에서 판매하는 ... ...
직접 전기 만들어 쓰고 판매까지… 떠오르는 ‘에너지 자립섬”
2016.11.04
주목받고 있다.
육지
와의 고립성 때문이다. 제주도는 초고압직류송전(HVDC)을 이용해
육지
에서 대용량 송전이 가능하지만 다른 섬은 독립적으로 전기를 생산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경유 발전기를 이용했지만 적잖은 매연과 소음, 온실가스 발생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최근엔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