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뉴스
"
조직
"(으)로 총 3,928건 검색되었습니다.
韓·美 공동연구팀, 인도양 대기부터 해저 4000m까지 동시관측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직원 개개인이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만들겠다"며 "과학 문화 확산을 통해 국민들의 과학적 소양도 높이겠다"고 전했다 ... ...
동물성분 완전히 배제한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첨단 재생치료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데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사람의 세포가 동물 모델에 이식된 후에도 기능을 유지하고
조직
재생 효과를 발휘한 것"이라며 "개발된 플랫폼이 줄기세포 치료제로서 실질적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입증한 중요한 사례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상용화 가능성과 대규모 생산성을 평가할 ... ...
루닛, 네이처 자매지 'AI 기반 면역
조직
염색 분석'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매년 수백 개의 새로운 항암제 후보물질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범용면역
조직
염색 AI 모델의 개발은 신약개발 과정의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동반진단 개발이 필요한 신규 항암제 연구에서 AI 기반 정량분석 솔루션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3 ... ...
항암 면역세포, 체내에서 직접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항암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세포막에 발현하는 ‘CD3 항체’를 암호화하는 mRNA를 종양
조직
내 대식세포와 암세포에 전달했다. 암세포의 세포막에 발현된 항 CD3 항체는 현재 항암 치료제로 사용돼 종양 침윤 T세포의 암세포 상호작용 및 암세포 사멸 능력을 증진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항암 치료를 ... ...
뇌경색 후유증 치료하는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줄기세포보다 우수한 신경 보호 및 재생 효과를 가진다”며 “CXCR2 경로를 통해 뇌
조직
재생과 신경가소성 증강 기능을 발휘함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ghMSCs는 유전자 조작 없이 기능이 강화된 안전하고 효율적인 세포치료법”이라며 “뇌경색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효율적인 ... ...
'생직교 화학 반응' 활용한 '암세포 표적 광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침습적 암 치료법으로 주목받는다. 하지만 종양 내부와 주변
조직
의 저산소증으로 활성산소종 생성이 제한되면서 치료 효율이 낮아지고 암의 완전 제거와 재발 방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기존 광감각제는 피부광과민증과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환자가 빛 노출을 철저히 ... ...
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 전이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악성화와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인간화 마우스(인간 세포나
조직
을 이식한 쥐)을 대상으로 디스에드헤린과 MMP9 간 신호전달 매개를 통한 콜라겐 리모델링이 면역 억제 및 혈관 신생을 촉진해 암세포 친화적 종양 미세환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남 ... ...
연총 차기 회장에 김진수 화학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사기 진작이다. 김 신임 회장은 “출연연 과학기술인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
조직
인 연총의 위상을 강화하고 연구자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일하겠다”고 전했다 ... ...
설탕보다 위험한 과당…간에서 종양세포 성장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네이처'에 5일 발표했다.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덩어리가 진 종양은 주변
조직
을 침범하거나 전이할 때 암이 된다. 그간 과당은 다양한 질환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과량 섭취할 경우 저밀도콜레스테롤(LDL)이 혈관벽에 쌓이게 되면서 심혈관질환 위험성을 높인다. 가장 밀접한 질환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BBB' 뚫고 뇌에 치료제 전달하는 T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뇌 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신경계통 미세혈관의 구조 특성이다. 혈관과
조직
이 매우 촘촘하게 그물을 형성해 해로운 물질이 뇌로 도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DOI: 10.1126/science.adl423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