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뉴스
"
통로
"(으)로 총 467건 검색되었습니다.
[때와 곳 23] 엘리베이터: 두 부류의 사람이 이용하는 곳
2017.09.23
때는 10분가량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거의 매 층마다 멈추기에 만약 계단
통로
가 있다면 내려갈 때는 그쪽을 이용할 텐데 웬일인지 그 매장에는 비상계단은 없다. GIB 제공 7층을 알리는 램프가 깜빡이자 빠른 속도로 엘리베이터의 미닫이문이 열렸다. 공수 교대하는 야구장의 ... ...
‘옴의 법칙’ 190년만에 한국인 과학자가 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내부 공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미량의 저항은 있다. 향후 연구를 거듭하면 모든 전자가
통로
를 통해 움직여 저항을 전혀 받지 않고 전류가 흐르는 소자를 만들 수 있다. 바일 금속의 최초 발견자도 국내 과학자다. 김기석 포스텍 교수와 김헌정 교수 등 국내 연구진이 2013년 발견했다. 금속의 최초 ... ...
녹내장 발병원인 규명… 새 치료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7.09.20
안압 조절에 꼭 필요한 기관인 실렘관(눈동자 속 액체인 방수가 정맥 속으로 빠져나가는
통로
)이 어떤 신호를 받아 움직이는지 해석했다. 녹내장 전체 환자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원발개방각녹내장이 이 실렘관 고장으로 생긴다. 다양한 실험 결과 건강한 사람은 앙기오포이에틴(ANG)과 타이투(TIE2 ... ...
아이폰X에 담긴 애플의 10년
2017.09.13
역할은 앱을 닫고 메인 화면으로 나가는 스위치이자, 두 번 눌러 앱 사이를 오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기기를 켜면서 동시에 지문을 읽는 터치ID의 센서다. 아이폰 이용자들은 홈 버튼을 하루에도 수 백번씩 누르게 마련이다. 이를 없앤다는 것이다. 최호섭 제공 일단 아이폰X의 기본적인 홈 ... ...
[때와 곳 20] 집골목: 유년의 추억이 빙그레 웃고 있는 곳
2017.09.02
활용할 수 있는 대지는 2할이나 빠진 오십 평쯤 되었다. GIB 제공 동네로 드나드는
통로
로만 쓰였던 그 무용한(?) 공간이 허전해 보였는지 봄이 오면 나의 할머니께서는 긴 골목의 담장 아래에 깨꽃을 나란히 심으셨다. 지구 저편의 브라질이 원산지인 깨꽃의 원어명은 ‘salvia’이고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가 먹는 달걀에서 왜 살충제 피프로닐이 나왔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8.15
계열 살충제로 주로 곤충 신경계의 감마아미노낙산
통로
염화 채널이나 글루타민염
통로
염화 채널에 작용해서 신경계를 교란시킵니다. 살충제에 노출된 곤충은 신경과 근육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죽고 맙니다. 피프로닐은 포유류보다 곤충의 감마아미노낙산 수용체에 더 잘 반응하기 때문에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인해 이 정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학자들이 얼음 없는
통로
지역 땅을 연구한 끝에 이곳에 식물이 처음 등장한 것이 1만2600년 전이라는 분석을 내놨기 때문이다. 클로비스 문화가 생겨난 지 1000년이나 지난 뒤의 시점이다. 그 뒤 대두된 가설은 태평양 해안을 따라 ... ...
갑판에 오아시스가 있는 초호화 요트
팝뉴스
l
2017.07.13
그 중 3층은 거실로 사용된다. 거실 바로 아래에는 식당이 있고, 식사를 마친 후 중앙
통로
를 내려오면 정원과 수영장으로 이어진다. 이 거대한 요트는 의외로 친환경적 에너지를 사용한다. 꼭대기에 있는 900평방미터의 태양광 패널은 평소 요트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 ...
화이트 보드 마카, 끝까지 오래 쓸 수 있는 비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05
레저버 대신 생잉크를 넣어 밀봉했다. 0.1~0.5㎜의 구멍을 뚫어 잉크가 흘러나가는 공기
통로
를 만들었다. 필심과 생잉크를 담은 펜대 사이에 고밀도 흡수체를 넣어 잘 흐른다는 생잉크의 불편을 해결했다. 밀도가 높아 잉크가 한꺼번에 필심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필요한 양만큼만 들어간다. 200m를 ... ...
[때와 곳 6] 철도역: 배웅과 마중의 살가운 현장
2017.05.20
같기도 하고, 밤이면 눅눅한 식빵 같은 피로를 한 짐씩 지고 되돌아오는 사람들의 고달픈
통로
이기도 하다. 그러한 철도역은 행인은 많아도 정착한 사람은 거의 없는 곳이며, 그러기에 늘 떠나는 분들과 돌아오는 분들만 있는 곳이며, 그 승객들을 태운 열차의 강철 바퀴가 은빛 선로를 달려와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