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스페셜
"
가설
"(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수는 없지만 개연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고환발육부전증후군’이라는 흥미로운
가설
이 있다. 남성화프로그래밍창(masculinization programming window)이라고 부르는, 남성 태아가 발달하는 결정적인 시기에 비스페놀A에 노출될 경우 고환 발육에 문제가 생기고 그 결과 생식기 발육부전이나 정자수 감소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남았다. - Arne Nordmann 제공 진공의 부활 마이컬슨과 몰리의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가설
인 에테르의 흐름을 나타낸 그림. 우주공간이 빛의 매질인 에테르로 가득 차 있다면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동안 빛의 속도가 다르게 측정되어야 한다. 매질의 흐름과 지구의 진행방향이 시시각각 변하기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연구자들은 동물실험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이를 바탕으로 흥미로운
가설
을 제안했다. 즉 20세기 후반기 들어 비만과 염증성 장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한 배후에는 가공식품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 즉 가공식품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유력하다는 사실이 드러나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어졌다. 액시온은 한국인이 그
가설
을 세우고 이론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한국 과학계에는 각별한 의미가 있기도 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도 2년 전부터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을 설립하여 관련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표면을 덮고 있는 물의 기원을 찾는 게 만만한 일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 실제로 많은
가설
이 나와 있지만 아직 결정적인 시나리오를 재구성하지는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필자가 막연히 생각한 것처럼 지구가 형성될 때 물이 있었던 건 아닌 게 거의 확실하다. 대신 지구가 형성되고 수천만 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이처럼 포식자의 행동이 생태계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을 ‘행동연쇄
가설
(behavioural-cascade hypothesis)’라고 부른다. 필자가 보기에도 꽤 그럴듯한 설명 같다. 그런데 2010년 이런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생태학’에 실렸다. 미국 와이오밍주 어류 및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없을 수 있다는 관측 데이터가 나왔다. 따라서 로제타호의 관측 결과가 우리의 이런
가설
을 미궁에 빠지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1년간 로제타호는 혜성과 태양계 초기의 환경에 관한 비밀을 풀 수 있는 암호들을 보내올 것이다. 로제타석의 암호를 풀듯 이를 어떻게 해석해 나갈 지는 우리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속성이 없어 실체를 놓고 여러
가설
이 난무했는데 자일라허도 가세해 가장 과격한
가설
을 내놓은 것. 즉 에디아카라 화석군은 캄브리아기 동물계와는 별도의 계(Kingdom)라고 주장하고 ‘벤도비온트(Vendobionta)’라고 명명했다. 자일라허는 벤도비온트가 그 뒤 완전히 절멸했다고 주장하지만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염증반응 뜻밖에도 현재 숙취의 원인으로 가장 그럴듯하게 여기는 이론이 염증반응
가설
이라고 한다. 즉 병균에 감염됐을 때 우리 몸이 보이는 증상과 숙취가 비슷하다는 말이다. 그리고 보니 몸살을 앓을 때 증상이 숙취와 비슷한 것 같기도 하다. 즉 숙취 상태에서는 우리 몸의 면역관련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명쾌하게 제시하는 이론도 없다고 한다. 다만 지금까지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는
가설
에 따르면 태양질량의 150배가 한계라고. 미국 로체스터기술연구소 검출기센터 도널드 피거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 7월 학술지 ‘천문학&천체물리학’에 실린 독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