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스페셜
"
활동
"(으)로 총 2,59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난을 받아들이면 의외로 해결하기 쉬워져
2022.08.06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
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SNS서 부자 친구 두면 소득 올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6
반영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사용자 간의 친밀도는 ‘좋아요’, ‘태그’ 등의 SNS
활동
을 통해 추정했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의 경제적 지위는 대부분 그들의 SNS 친구들의 경제적 지위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더 나은 경제적 지위를 가진 지역의 친구들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 ...
[우주산업 리포트] 러시아 우주정책, '대결'에서 '협력·상업화'로 선회하나
2022.08.05
국제우주정거장 사령관을 맡아온 러시아 우주비행사 안톤 슈카플레로프(왼쪽)가 29일 우주비행사 10명이 모두 모인 가운데 우주정거장 지휘권의 상징인 열쇠를 미국 우주비행사 토머스 마시 ... 지냈고 2021년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에 합류해 서울지국장으로
활동
하고 있다. ... ...
방역당국 “오미크론변이 우세화 이후 영업제한 효과 크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때문에 감염력이 낮아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외에서는 보다 안전하게
활동
할 수 있고 건강인의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된다는 것은 아니며 다만 밀집된 환경에서는 실외에서도 마스크 착용을 권고한다는 것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7월 첫주와 둘째주 1명의 확진자가 몇 ... ...
[한국 첫 달궤도선] 구이디 NASA 부국장 "다누리 성공할 것...우주탐사에서 한국과 협력 분야 많아"
2022.08.04
표면에서 여러 파트너들과 함께 협력하기를 희망한다.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영구적인
활동
이 될 것이다. 성공 가능성은 100%다." 박정연 기자·케이프커내버럴(미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NASA, 화성에 암석 시료 가져올 헬기 추가로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8
안정적으로
활동
하고 있어 시료를 직접 배달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012년부터
활동
을 시작한 화성 탐사 로버 큐리아서티가 1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정상적으로 운행한다는 점에 비춰보면, 2030년 시료 귀환 착륙선이 도착할 때까지 퍼시비어런스도 임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NASA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
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번역서로는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을 ... ...
코로나19 인간
활동
이 잠시 멈춘 사이 야생동물 세계도 웃고 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5
. 위키미디어 제공 ○ 봉쇄조치가 야생 생태계 부정적 영향 미치기도 한편에선 인간
활동
축소에 따른 생태계 교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북미에서는 농작물을 먹어치우는 흰기러기에 대해 특정 기간 사냥을 허용했는데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사냥 횟수가 54%가량 줄어든 것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지방 새의 서식지, 기후보다 ‘생물종 경쟁’ 영향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주장이다. 다른 하나는 같은 칼새목 벌새과인 검은부리풍조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활동
반경이 좁아졌다는 추측이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기온조건 보다 생물종 간의 경쟁이 열대지방에 사는 새들의 서식 범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벤저민 프리먼 캐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탐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간
활동
이 자연에 과도한 영향을 주면서 여섯 번째 대멸종이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엔에 따르면 최근 100년간 1만년 안에 멸종될 만큼 많은 종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생물종의 25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