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보통생각
d라이브러리
"
일반생각
"(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관측의 요령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태양계 내부에 있는 천체(태양 달 행성 혜성 등)에 관한 관측은 도심에서도 쉽게 할 수 있다. 즉 구경에 큰 구애를 받지 않고 집 옥상이나 마당에서 관측할 수 있으므로 도시에 사는 아마추어들에게는 좋은 대상이다. 되도록이면 끈기를 가지고 장기간 관측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기록하도록 한다.특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가입자 50만명을 헤아리는 PC통신 인구.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우리의 PC통신은 인터네트의 상용 서비스로 새로운 도약기를 맞고 있다. 지금에 이르기까지에는 불모지에 밭을 일구려는 모험가들의 험난한 수고가 있었으니···. 국내 PC통신의 씨앗 '엠팔' 회원이 말하는 통신 ... ...
물리 - 중력이용, 지구중심관통열차 운행한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갈릴레이가 발견한 단진동은 일상생활에서 널리 활용되는 주기운동이다. 현실의 세계에서 벗어나 지구중력을 이용한 단진동 땅굴열차를 상상해보자. 갈릴레이가 피사의 사원에서 램프가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보고 발견했다는 '진자의 등시성'이라는 것이 있다. 즉 램프의 무게가 가벼우나 무거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인간의 피부는 알고보면 엄청나게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람마다 제각각 다른 지문은 손으로 물건을 쥐는 사람과 원숭이만 가진 것으로, 평생 변하지 않는다.대다수의 사람들은 피부의 실체를 모른다. 그저 눈에 보이는 인체의 표면으로 생각하는 정도다. ... ...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어느 틈엔가 컴퓨터그래픽은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다. 우리가 자주 보는 영화 또한 마찬가지다. 영화에 도입된 컴퓨터그래픽은 과거 '보여주기'위한 제작에서 이제는 영화의 내용을 최대한 살려주는 '조력자'로 바뀌고 있다.20세기와 더불어 만들어진 컴퓨터는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아 ... ...
물리- 이불에 떨어진 유리컵, 왜 안깨지나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운동량과 충격량의 원리를 알아두면 일상생활과 관련된 많은 현상들을 이해할 수 있다. 운동량 보존법칙은 마찰이 없는 우주공간에서 확실하게 증명된다.시멘트 바닥에 떨어진 유리컵은 금방 깨지는데 이불 위에 떨어진 것은 깨지지 않는다. 그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 운동량과 충격량으로 ... ...
(1) 생태계 황폐화, 더 이상 살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제까지 생물은 자연환경에 적응함으로써 생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물이 새 환경에 적응할 시간적 여유 없이 환경이 갑자기 변화해 간다면 어떻게 될까? 생물은 다른 곳으로 이주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절멸할 것이다.사람은 얼마나 오랫동안 이 지구 위에 살수 있을까? 지금의 모습이 앞으로 ... ...
3 인간 오감, 컴퓨터로 재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가상현실은 아날로그 신호인 인간의 오감을 디지털 신호인 컴퓨터로 재현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떤 장비와 기술이 채택되고 있으며 재생가능 정도를 알아본다아날로그는 원래 '측정' '기록'의 의미를 가진 단어다. 디지털 기술이 출현하기 이전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측정과 기록이 ... ...
PART2 효율적 사용의 열쇠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사용설명서를 봐도 그렇고 사양표를 봐도 그렇고 못 알아들을 단어들이 너무 많다. 프린터 사용의 초보벽을 넘기 위해 기초지식을 익혀두자.모든 문서를 직접 컴퓨터로 전달하는 전자우편의 활용이 활발한 요즘이지만 종이라는 매체는 여전히 컴퓨터 사용자간의 의사전달 수단으로 가장 중요한 비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오파린 가설에서는 생명의 기원을 원시 지구에 있던 간단한 무기물에서부터 찾는다. 이 가설은 밀러의 실험으로 일부 확인되었다. 다윈은 저서 '인류의 기원'을 통해 인류가 원숭이와 공동조상을 가진다는 학설을 발표, 대단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지구의 나이는 45억살이다. 이는 방사성 동위 원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