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를 덮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나는 잘 참아내고 있다. 이런 고마운 호의는 꼭 도움이 필요한 순간을 위해 아껴두고 싶으니까. 그 때가 되면 유황불 속의 생물학자가 과연 어떠한 도움을 내게 제공해줄지, 그 의문이 마침내 풀릴 순간을 나는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만 있어도 되니까 상자를 더 빠르게, 많이 만들 수 있어요. 육각형 상자는 선분이 6개나 필요해서 더 복잡하고, 선분 한 개를 그릴 때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격자 모양이 달라도 속임수 전략을 사용하거나 상자 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도트 앤 박스와 원리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물로 양분을 만드는 과정이에요. 광합성(光合成)이란 한자어에는 ‘빛(光)이 필요한 것들을 합해(合) 양분을 이룬다(成)’는 뜻이 담겨 있지요.먼저, ‘빛 광(光)’은 ‘불 화(火)’와 ‘사람 인(人)’이 합쳐진 한자예요. 사람이 횃불을 들고 밝게 비춘다는 뜻에서 ‘빛’이란 뜻을 갖게 됐지요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4주내 유아에게 접종할 경우 1.2mm로 얇은 진피에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경피용은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뒤 9개의 바늘이 달린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개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주사할 수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은 학부생으로 구성된 아주대 팀에게 돌아갔다. 2차원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운영 중이다. 고카트는 지도 제작, 위치 파악 및 경로 설정, 장애물 회피 등 자율주행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로봇 한 대에 담았다. 고카트는 활동할 건물을 층별로 돌아다니면서 지도를 만들고, 실제 동작할 때는 지도상의 이미지와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위치를 파악한다. 강태윤 ...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페이스ID’를 탑재했다. 비밀번호를 누를 필요도, 손가락을 갖다대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도 없다. 카메라와 눈빛 교환 한 번에 스르륵 화면이 뜬다. 인식 오작동 확률은 100만 명 중 1명 꼴. 5만 번 중 1번인 터치ID보다 보안 기능이 강화됐다. 얼굴 인식이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때문에 자동모니터링카메라 시스템으로 꾸준히 감시하는 게 좋대. 펭귄 보호용 연구 필요수십 년 동안 많은 학자들이 우리를 연구했지만, 아직 궁금한 게 많은가 봐. 과학자들과 같이 지내보니까, 그래도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많은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더라고. 다만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매우 높았던 기억이 있다”며 “문화 콘텐츠에 과학기술을 자연스럽게 녹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넷플릭스가 국내 첫 오리지널 드라마로 제작을 결정한 웹툰 ‘좋아하면 울리는’의 PD를 만나 과학 분야 자문도 해줬다. 이 웹툰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좋아하는 마음을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의식과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심장이 아직 펌프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침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미국심장학회는 2010년 ‘심폐소생 및 긴급 심장혈관 치료’ 지침에서 “기침 심폐소생술이란 표현은 적절하지 않고 이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습니다. 체한 듯 가슴 답답,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